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지도 이미지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2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문화유적지정번호
서울특별시지정 유형문화재 제84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류
소재지지번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지정일자
1992-12-28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봉은사에서 왕궁의 내탕금(內帑金)과 각계의 시주를 얻어 1856년(철종 7) 9월 판각이 완성되었다. 이 화엄경판을 봉안하기 위해 법당을 신축하고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받아 현판을 걸었으니, 이 건물이 바로 현재의 봉은사 판전이다. 1992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되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2-3218-4812
관리기관명
대한불교조계종봉은사
데이터기준일자
2021-08-27
제공기관코드
3,220,000
제공기관명
서울특별시 강남구

블로그 리뷰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2024 봉은사 1230주년 개산대재 축제 일정 확인! 리야오쯔 서화전 & 천수와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강호선 [상세정보]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 에서 조선 후기에 만든 『화엄경소초』 목판. [개설]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 [이하 『화엄경소초』 로 약칭]는 가장 대표적인 대승불교 경전이자 화엄종의 소의경전이고, 동아시아 교...

    one_art(2024-09-29 07:30: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영기스님과 추사 김정희 모습 어른어른 - 서울 봉은사

    별세하였다 현판은 그가 별세하기 사흘 전에 썼다고 전해진다 말미에 "칠십일과병중작(七十一果病中作)" 71살 과천 늙은이가 병중에 쓰다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 목판 철종 7년(1856)에 남호대율사 "영기 스님"의 발의로 새겨 봉은사 판전(板殿)에 봉안된 것 경판은 모두 3,175매 크기는 24.7×50.9㎝ 좌우로 꽉...

    우리 문화유산 여행(2024-11-26 11:33: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첫 대형괘불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지정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되었던 괘불도는 처음에는 본존이 결가부좌하고 있는 좌상 형식으로 그려지다가 점차 입상 형식으로 바뀌면서 크기도 상대적으로 커졌다. 괘불도는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었으며, 현재 「칠장사 오불회 괘불」 등 7점의 국보와, 「죽림사 세존 괘불」 등 55점의 보물을...

    튼튼이와 씩씩이의 블로그(2025-04-24 19:43:46)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미술 속 동물 이야기③] 동물계의 현자(賢者), 백택

    편찬된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大方広佛華厳経随疏演義鈔)』와 『십길상강경문(十吉祥講経文)』 등 불교 경전에서 “소는 백택을 낳는다.”라는 기록이 확인되어 이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면우신 도상의 일본 백택, 에도시대 17-18세기 두 번째는 사람 얼굴에 소의 몸을 지닌 인면우신(人面牛身) 도상의...

    데일리아트(2025-05-08 12:49:5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서울 봉은사 [2]

    유형문화재 제 232호 봉은사 비로자나불도 (관람 불가) 조선시대 후기 / 1886년(고종 23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84호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 목판 (관람 불가) 조선시대 후기 / 1856년(철종 7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83호 봉은사 판전 현판 조선시대 후기 / 1856년(철종 7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3-05-31 21:42: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선종본찰(禪宗本刹) 봉은사(奉恩寺)

    奉恩寺 選佛堂) 건물 1동 76호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洪武 25年 長興寺銘 銅鐘) 1구 83호 봉은사 판전 현판(奉恩寺 板殿 懸板) 1점 84호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初木) 3,190판 160호 봉은사 목사천왕상(奉恩寺 木四天王像) 4구 226호 봉은사 목 삼불상(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奉恩...

    amisan(2024-10-14 08:15: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새 국보 하나, 보물 셋

    세계 어느 나라의 불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문화유산이다.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된 괘불도는 처음에는 본존이 결가부좌하고 있는 좌상으로...118(大方廣佛華嚴經疏 卷百十八)은 당의 승려 징관(738∼839)이 지은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를 송의 승려 정원(1011∼1088)이 상세하게...

    섬싱 언유주얼(2025-05-02 06:20: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강남 한복판의 고찰, 봉은사

    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수소연의(隨疏演義) 초판 3,175점이 보존되어 있다. 조선 철종 7년(1856)에 율사로 이름을 떨친 영기(永奇)스님이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을 제작하면서 이를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어진 집이 판전이다. 판전에 걸려있는 현판은 당대 최고의 명필 추사 김정희의 글씨로 그의 말년작...

    관송글방(2024-06-01 09:15: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봉은사 판전

    유형문화재 제84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의 목판을 비롯하여 금강경,유마경 등 13종류 경전의 목판 3749장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판전에 보관중인 목판입니다.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경의 정식이름이랍니다. ​ 판전의 뒤쪽 흥선대원위영세불망비 추사김정희선생기적비 미륵전...

    메리쏘잉(2024-08-30 16:55:00)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목판 | 등 3건 보물 지정 예고- 국가유산청, 조선 후기 괘불도, 고려 및 조선시대 전적 등 총 3건 보물 지정 예고

    조선 후기 괘불도인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를 비롯해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8」, 「삼봉선생집 권7」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하였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達城 瑜伽寺 靈山會 掛佛圖)」는 1993년 도난되었다가 2020년 환수한 유물로, 화기(畫記)에 있는...

    잃어버린 추억 나들이(2025-01-01 01:38:37)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