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사발통문 작성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주산길 4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0.2km
제6호
바로가기
남당회맹단(南塘會盟壇)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 남당길 6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4.9km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
바로가기
보화리 고택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4길 16-7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5.6km
제4호
바로가기
태산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탑립1길 34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6.4km
제11호
바로가기
전봉준 단비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9.3km
제12호
바로가기
만석보혁파선정비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11.5km
제8호
바로가기
도동사(道東祠)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1길 64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13.5km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
바로가기
일재 이항선생 유허비
'동학혁명 모의탑'에서 15.8km
제10호
바로가기
전봉준 장군 고택, 황토현 전적지, 동학농민혁명기념관, 동학혁명모의탑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곳들을 돌아보며 혁명의 흔적과 그 역사적 의미를 직접 느껴볼...고택은 그의 삶과 혁명의 시작점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로, 조선 후기 전통 한옥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요. 내부에는 전봉준 장군의 생애와...
두딸맘 여행기(2025-01-18 07:56:00)
예향식당: 서울 오는 길- 광주시내 유명 백반집 운주사와 장길산, 그리고 동학혁명 운주사 역사 운주사는 정확한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고려 시대에 도선국사가...전설에 따르면 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 개의 불상과 천 개의 탑을 세우려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뜻을 이루지 못하고 999개의 불상과...
길가는 나그네 여행 맛집(2025-03-07 11:50:28)
울리는 이야기로 숙연해지기도 했다. 벽화로 소개되는 “녹두꽃은 영원하리”라는 글과 그림은 그 당시를 회상해 보게 했다. 고부 대뫼마을에는 동학농민혁명 모의탑이 있고 사발통문 작성 터라는 안내문이 세워져 있었다. 버스를 타고 또 다른 터에 도착하니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세웠다는 갑오동학혁명 기념탑을 볼 수...
남재 이진주(2025-04-03 13:09:51)
등이 돌로 조각되어 있다. 사발통문 작성지 이집이 바로 사발통문이 발견된 집이에요! 성질이 사나운 귀여운 강아지가 집을 지키고 있으니 조심하세요! 동학혁명모의탑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관련항목 보기에 있는 동학농민혁명의 사발통문 작성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탑. 전봉준 유적 동학농민혁명...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동학농민혁명기념관/(2025-04-03 15:09:00)
조선시대 인구 4/1 동학농민혁명에 참여 ~30만명이 운동 참여 밥이 하늘이다 최시형선생님이 한 말씀 #한경례일본어가아드 #관광통역사레크레이션교육 #한경례중국어가이드 #한상궁이야기 #부평꿈마을 #부평꿈마을 역사웃음강사 #동백여행사가이드
관광통역안내사 한경례(2024-02-28 09:14:00)
[정읍 동학혁명모의탑] 조선 후기에 이르러 탐관오리의 수탈과 폭정이 극에 달해 사회 질서가 문란해지고, 외세의 침탈마저 노골화되니 백성은 의지할 데 없는 처지가 되어 원성이 하늘에 이르렀다. 1893년 11월, 이곳 고부면 신중리 주산마을에 전봉준 등 20명이 모여 평등사회 건설과 우국충정의 불타는 마음으로...
바롱이와 떠나요!(2021-08-18 06:35:49)
혁명을 모의했던 이평면 예동마을에서부터 말목장터와 감나무까지 1km를 깃발과 함께 걷고, 격문록을 낭독하는 농민군 진군행렬을 재현했다. 게다가 15일(토) 동학농민혁명의 출발점인 1894년 1월 고부 농민봉기의 서막을 알리는 재현 행사를 이평면사무소 특설무대에서 131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정읍시...
전북포커스 Blog(2025-02-17 06:01:00)
전봉준의 "보국안민"은 대원군의 위정척화와 쇄국에 공유하는 바가 있지만, 억울한 농민들과 더불어 조직적으로 준비한 기포한 정치 혁명적 성격을 띈다. 계보학적 문제틀 동학 농민전쟁이 근대를 열어놓은 민주주의 혁명인지 평가하는 데 논란이 있다. 동학 농민군은 제 1차 봉기과정에서 12개조 폐정개혁안을 지방과...
사회학적 사유와 고고학적 해석(2025-01-31 06:33:52)
불상의 높이는 왼쪽 불상 2.96m, 오른쪽 불상 3.06m, 중앙보살 2.23m로 2여래·1보살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출처 - 국가유산채널 태을암을 지나 동학농민혁명군 추모탑쪽으로 하산해서 서부 시장으로 고고~ 하산길에 쉬어가면서 내려갑니다. 조심해서 내려가다 보면 동학 농민혁명군 추모탑과 태안 지역동학전래비가...
공간의 숲(2025-03-17 15:33:00)
불상, 탑, 건축물, 기록물, 자기 등이 있습니다. 선사시대의 경우 1문제로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에서 돌아가면서 1문제씩 나오고 있습니다. 초기 국가나 고조선에서 번갈아가며 1문제씩 나옵니다. 국가별 특징을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삼국시대의 경우 1~2문제로 4~6세기 간 삼국 간 항쟁 시기 주요 왕의...
시험에 나오는 한국사 따라잡기(2025-03-29 20:1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