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졸루정(拙陋亭)
'연어헌(鳶魚軒)'에서 1.1km
11
바로가기
함경당(涵鏡堂)
'연어헌(鳶魚軒)'에서 2.3km
101
바로가기
안동판관 김성경 유허비(安東判官 金成慶 遺墟碑)
'연어헌(鳶魚軒)'에서 2.7km
92
바로가기
한서재(寒栖齋)
'연어헌(鳶魚軒)'에서 2.7km
119
바로가기
음식졀조(飮食節造)
경상북도 안동시 경북대로 340
'연어헌(鳶魚軒)'에서 3.2km
129
바로가기
평화동 일본식 철도관사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8길 22-9
'연어헌(鳶魚軒)'에서 4.4km
128
바로가기
국신당(國神堂)
'연어헌(鳶魚軒)'에서 4.6km
4
바로가기
김한백 효자비각(金漢伯 孝子碑閣)
'연어헌(鳶魚軒)'에서 4.6km
93
바로가기
받기 위해 각지에서 모여드는 유생들을 모아 학문을 강론하던 공간인 관물당(觀物堂)과 그가 벼슬길로 나아가는 것을 단념한 후 평생을 머무른 공간인 연어헌(鳶魚軒), 그리고 권호문 사후(死後)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인 청성서원(靑城書院)과 청성서원 뒤편에 마련된 권호문의 묘소 등 권호문...
우리말의 향기는 흩날리고~♬(2020-02-11 14:27:00)
관서헌(觀書軒)은 같은 규모와 양식으로 대칭을 이룬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강학 공간 뒤에는 제향 공간인 신삼문과 도존사...군자정과 군자당, 오계서원 입구 양측에 활발대(活潑臺)와 연어대(鳶魚臺) 등이 있다. 현황 오계서원은 2005년 1월 10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75호...
내가 기억하고 싶은것(2024-09-07 07:45:00)
신종찬 내 고향 안동 청량산에도 기둥으로 쓸 만큼 큰 싸리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었고, 그 나무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선생이 연어헌(鳶魚軒)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도 연어헌이 청성산 기슭에 낙동강을 굽어보고 있다. ‘연어’는 ‘연비어약’의 줄임말이며, 이는 또 “솔개는 하늘에서 날고, 고기는...
풍악서당 남해(2024-12-21 17:19:00)
연어헌(鳶魚軒) 안동시에서 예천 쪽으로 가는 국도를 따라 가다가 송현동을 지나 시외버스 정류장을 지나서 조그만 더 가면 큰 다리가 있고 그 앞에 안동의 [서의문]이 보인다. 거기서 왼편으로 접어드는 길을 따라 둑 위에 길을 가면, 산모랭이 한 구비를 도고나면 오른편 산허리에 [연어헌]이 있다. 청성산 아랫 턱에...
청남 권영한의 전통가훈 명언명구와 서예(2016-10-05 05:36:00)
세 번 올려 비로소 관리로 등용되었다 함. (6) ‘두자미’는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 황제에게 삼대예부(三大禮賦)를 지어 올려 관리도 등용되었음. 연어헌(鳶魚軒)- 저자가 어머니를 여읜 후 벼슬길을 버리고 안동으로 내려와 평생을 지낸 곳 제6장 君門 深九重 ᄒᆞ고 草澤 隔萬里 ᄒᆞ니 (군문 심구중하고 초택 격만리...
우리 고전의 향기(2024-09-24 07:00:00)
연어헌(鳶魚軒) 연어헌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송암 권호문이 자연과 벗하며 살았던 유서 깊은 정자이다. 앞쪽에 한글로 쓴 연어헌 현판이 하나 더 있으며 내부에는 무민재, 유정재 등의 현판과 시판이 걸려 있다. 청성산 기슭에 낙동강을 굽어보며 자리잡고 있다. 연어란 솔개가 하늘로 날아 오르거나 물고기가 연못에서...
자즐보(2013-05-16 14:29:24)
명종 4) 아버지를 여의고 1561년 29세에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1564년에 어머니상을 당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청성산(靑城山) 아래에 무민재(無悶齋)와 연어헌(鳶魚軒)를 짓고 그곳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였다. 이황(李滉)을 스승으로 모셨다. 이황은 권호문을 유자의 기상이 있다고 평하였다. 류성룡(柳成龍...
세세, 세월따라 세상따라(2024-05-03 23:49:00)
의 후기 모습을 보여주는 노래다. 이 노래는 시적 화자가 현실 세계에서 벗어나 강호 자연 속으로 침잠하기까지의 과정을 시간적 계기를 따라 단계적·논리적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자연 공간을 문학 속으로 끌어들여 작자의 실존적 모습을 제시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송암은 경기체가 변형 양식인 <독락팔곡(獨樂...
이 풍진 세상에(2019-05-25 07:21:45)
조선 후기에 어느 도인이 솥바위에 앉아 놀면서 '앞으로 솥바위 반경 20리 안에서 나라의 부자 세 명이 태어날 것이다'라는 예언을 했다고 한다. 실제로 솥바위 반경 20리 이내에서 삼성의 호암 이병철, 금성(LG)의 연암 구인회, 효성의 만우 조홍제가 태어났다. 그래서 의령군은 솥바위를 '대한민국 부(富)의 원점'으로...
꿈꾸는세상(2023-10-31 21:13:15)
후학도 양성했다. 인근 금계에는 경광서당을 지었다. 그리고 1574년 43세에 송암은 성산사 아래 낙동강이 굽어보이는 곳에 정자를 지었다. 청성산 기슭 연어헌(鳶魚軒)이다. 송암은 청성산을 의지해 후진 양성에 진력한다. 36세 무렵 하연·권기·박경중·진종주·금관조 등 제자를 가르치고 48세 이후에는 병산서당...
crazyboy님의 블로그(2023-07-21 19:55: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