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작은 비각이 둘 있으니... 쌍충사적비 & 의기사(논개를 기리는 사당) # 쌍충사적비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제발과 그의 조카 제홍록의 공적을 함께 새긴 비석으로 한 집안의 두 충신이라는 뜻에서 쌍충(雙忠)이라고 하였다. # 진주성 촉석루. #... # 진주성 촉석문. #.... # 진주 제일의 명소 '촉석루...
시나브로 백두대간(2025-01-13 00:01:33)
쌍충비각 쌍충비로 가려면 조금 걸어가야 하는데, 나무속의 운치를 느끼면서, 가는 중에 "수자기 이야기"를 읽으며 걸으니 금방 도착하네요. [신미양요순국무명용사비] 신미양요 순국 무명용사비인데요. 1871년 신미양요 당시 조선군이 미군과의 전투에서 용감히 싸우다 순국한 무명 용사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기념비...
강화인의생활(2025-03-22 08:00:00)
된다. 쌍충 비각 안에는 광성보 전투에서 순국한 어재연 장군 형제의 넋을 기린 비와 당시 순국한 군인의 충절을 기리는 49명의 명단이 있는 순절비가 있는 곳이다. 신미양요(1871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이유로 들어오면서 사실상 문호 개방을 노리고 있던 미국이었다. 그들은 단숨에 강화도의 초지진을 함포 사격...
어디든 떠나요~(2025-01-26 22:06:00)
조선 후기 진주성 도에서 보면 성내에 관청과 함께 세곳에 우물표시가 있다. 문화재 발굴 과정에서 통일신라 시대 것으로 보이는수로가 발굴된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우물로 추정된다. 조사 발굴에서 현재의 위치에 있었던 우물을 2013년 9월 복원했다. 우물은 너비 1.5m. 깊이 8.4m로 더러운 물이 들어가지...
daebbang61(2025-03-29 22:01:00)
뜻에서 쌍충이라고 하였다. 제말은 의병을 일으켜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전 공을 세웠다. 성주 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왜군과의 전투에서 사망...전투 중에 사망하였다. 정조 16년(1792)에 촉석루 옆에 비를 세우고 비각을 지었는데 일제 강점기 때 헐리어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61년에 다시 원래의...
신나요는 Seoul & Daegu 유랑중 ~(2025-03-01 07:26:00)
모양의 둘레돌을 주변에 놓았다. 조선 후기 진주성에는 지금 위치에 관청과 함께 세 곳에 우물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진주성을 쌓은 삼국시대부터 있었던...째의 공적을 함께 새긴 비석이다. 한 집안의 두 충신 이라는 뜻에서 쌍충에낸)이라고 하였다. 제말은 의병을 일으켜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닉스의 산으로 떠나는 힐링(2025-03-06 20:37:00)
첫번째 행선지는 광성보! 광성보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에 위치한 조선 후기 군사 요새에요. 조선 효종~숙종 연간에 강화도 해안을 따라 설치된 군사 진보...기념비로, 역사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죠. 신미양요 순국 무명용사비, 쌍충비각 광성보는 1871년 신미양요 당시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으며, 미군은 초지진...
Pray Play Enjoy Love(2025-03-02 22:45:00)
여행후기_mr.j 356 🌏여행지역 : #경남 #창원 🌏여 행 일 : '25. 1.11(토) 🌏여 행 지 : #남파랑길 10.5~11코스 1️⃣ 🌏주요경로: 트레킹 🌏누 구 랑 : 산악회원 13명 🌏여행코스 【법지사 입구 ➡️ 제말장군 묘 ➡️ 다구항 ➡️ 광암 해수욕장 ➡️ 광암항 ➡️ 진동 삼거리 ➡️ 장기항 ➡️ 선두항 ➡️ 암아로 교차로】 🌏산행거리 : 11km 🌏산행...
터치다운(Touchdown)의 산행, 여행 이야기(2025-01-15 20:07:00)
생겼다고 하여 사두돈대였는데 뱀머리보다는 용머리이 낫다고 하여 조선후기 이름을 변경했다는 설이 있다. 광성보에서 보이는 초지진 청나라등 외세가 내륙으로...의 격전지 1.2회 광성보 전투신에 나왔던 곳이기도 하다. 광성보 내부 지도 쌍충비각 jangane.tistory.com 광성보에는 광성보 전투 전사자 중 신원을 알...
History Channel(2024-08-19 09:37:32)
조선 후기 군사 진보 가운데 하나로 고려 시대 몽골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강화해협을 따라 쌓은 성이에요. 통상을 요구했던 미 해군과 치열하게 항쟁했던 신미양요의 격전지로, 어재연 장군의 전적비와 함께 350여 명에 이르는 무명용사들의 순국을 기리는 신미순의총을 볼 수 있어요. 2. 방문 전 참고하세요...
교실 밖 역사여행(2024-12-10 00:0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