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허대사부도 지도 이미지

함허대사부도 5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함허대사부도
문화유적지정번호
1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석탑
소재지지번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산86
지정일자
1986-04-01
소유주체구분
사유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함허대사의 부도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32-930-4562
관리기관명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8-07
제공기관코드
3,570,000
제공기관명
인천광역시 강화군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함허대사부도'에서 6491.85km

바로가기

주변 관광 식당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상동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535-8

'함허대사부도'에서 29.43km

바로가기

안나프르나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 162-27

'함허대사부도'에서 32.63km

바로가기

미스차이나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427-2번지

'함허대사부도'에서 35.96km

바로가기

주)63시티방송회관클럽백리향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3-1번지 방송회관

'함허대사부도'에서 38.5km

바로가기

(주)63시티방송회관클럽백리향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3-5번지

'함허대사부도'에서 38.53km

바로가기

실크로드(중국식)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동 69-34

'함허대사부도'에서 38.85km

바로가기

명품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463-38 힐팰리스

'함허대사부도'에서 39.48km

바로가기

얌차이나(구로) 중국식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573번지 애경백화점 7층

'함허대사부도'에서 40.25km

바로가기

상하이궁신도림점(중국식)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337번지 대우푸르지오 211, 212호

'함허대사부도'에서 40.41km

바로가기

디큐브한식저잣거리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 692번지 지하2층

'함허대사부도'에서 40.53km

바로가기

하림성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339-15

'함허대사부도'에서 40.95km

바로가기

혜혜패스트푸드(중국식)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동 89-158

'함허대사부도'에서 41.2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함허대사부도 | (제2부) 민족의 영산 강화 마니산 참성단에서 정수사로

    조선 후기 지역 수호신 마고 할미를 모시는 제당과 천신·지신·산신을 모셨다는 부산 장산 마고당천제단(萇山麻姑堂天祭壇). 포항 영일 일월지(迎日 日月池)의 천제단도 있지만, 역사적 의미도 불분명한 것도 있다. 이번 산행은 바위를 좋아하는 나에게 마니산의 암릉길은 힘들었지만 즐거운 산행이었다. (뽀샵을...

    현림의 소리(2022-03-11 22:33:47)

  • 함허대사부도 | [山] 2022, 마니산 … 1. 정수사

    함허대사부도(涵虛大師浮屠) 1기, 중종(中鐘) 1구 등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사찰 연혁에도 주요 인물로 등장할 뿐 아니라 인근에 함허동천이 있으니.. 이 자리에서 함허대사가 어떤 분이신 지를 살피는 것이 순서이겠다. ​ 함허대사(1376 ~ 1433)의 법명은 기화(己和)이고 법호는 득통(得通), 함허(涵虛)는 당호...

    생에 대한 진한 애착(2022-08-19 13:37:00)

  • 함허대사부도 | 여말선초의 고승 지공·나옹·무학대사 부도가 자리한 양주 천보산 회암사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중소형 목불입니다. 법당의 우측 벽면에는 함허득통선사 진영이, 그 좌측의 법당 후벽면에는 지공선사 진영이, 아미타불상 좌측 후벽면에는 나옹선사 진영이, 그리고 법당 좌측 벽면에는 무학선사 진영이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었어요. [ 함허득통선사, 지공선사 영정 ] [ 나옹선사, 무학선사 영정...

    사륜구동의 일상과 기록(2022-02-25 18:28:00)

  • 함허대사부도 | 2022년 8월, 경기 양주의 회암사와 회암사지-1

    체험후기 보도자료 태조 이성계가 선택한 "템플스테이" 회암사(양주) 회암사는 ‘하늘이 내린 보배’라는 뜻의 천보산 자락에 위치한 아름다운 사찰입니다. 회암사는 고려 충숙왕 15년(1328) 인도의 고승 지공 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명종 4년(1174), 충선왕 4년(1313)에도 회암사 이름의 기록이 있어...

    걸림이 없는 삶님의 블로그(2022-08-15 15:32:00)

  • 함허대사부도 | 문경...희양산 봉암사(1)

    신라 후기에 새로운 사상흐름을 창출한 구산선문 중 하나인 희양산문이다. 그후 후삼국의 대립 갈등으로 절이 전화를 입어 폐허화되고 극락전만 남았을 때인 고려 태조 18년 정진대사가 중창하여 많은 고승을 배출하였다. 조선조 세종대왕 때 험허당 기화스님이 절을 중수한 뒤 머물면서 『원각경소』를 저술하였고...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13-03-18 07:50:31)

  • 함허대사부도 | [경기권]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 대웅보전, 천 년 법당에 모란과 연꽃이 흐드러지다

    조선 후기 때의 장식적인 모습으로 공포에 새겨 넣은 연꽃이 화려하다. 현판 좌우에는 잡귀를 막아주는 벽사동물이 앙증맞게 붙어 있다. 정수사 대웅보전의 지붕을 떠 바치는 공포의 전면은 화려하고 후면은 단순한 장식을 가지고 있다. 대웅보전에 핀 꽃 이렇게 특이한 구조를 가진 정수사 법당의 아름다움은 꽃살문에...

    국가유산 즐거움이 되다, 국가유산진흥원(2016-12-02 11:10:00)

  • 함허대사부도 | 강화 초피산, 마니산, 상봉

    臺), 함허대사부도(涵虛大師浮屠), 선두포구(船頭浦口), 후애돈대(後崖墩臺), 양암(陽岩)돈대, 송곶(松串)돈대, 동검북(東檢北)돈대, 미곶(彌串)돈대, 장곶(長串)돈대(인천유형문화재 29), 북일곶(北一串)돈대, 점암(點岩)돈대, 정수사(淨水寺), 정수사 법당(보물 161), 동막리(東幕里) 고인돌, 홍익한택지(洪翼漢宅址...

    인생은 "0"(2023-10-10 07:17:00)

  • 함허대사부도 | 강화도 여행

    조선후기 왕실의 기록물들을 보관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의 침입으로 건물이 파괴되고 서적은 약탈되었는데 근래에 프랑스로부터 임대형식으로 의궤 등을 돌려받았다. 고려궁지 외규장각 이방청 강화산성은 고려 때 몽골의 침입을 받고 강화도로 도읍지를 옮기면서 축조되기 시작하여 여러 차례...

    오선생의 여행수첩(2018-02-26 21:37:00)

  • 함허대사부도 | 월명스님과 함께하는 보현보살 기도 매월 음 14일 :보현보살

    시대 후기부터의 역사만이 전해지고 있다. 1812년(순조 12)에는 이 절의 승려들이 홍봉장(洪鳳章)의 도움을 받아 중건하였고, 1867년(고종 4)에는 경산(京山)이 석굴 안에 처마를 이어 나한전을 건조하였으며, 1893년(고종 30)에는 명성왕후의 전교로 요사와 객실을 중건하였다. 1911년 일제가 30본·말사를 제정하면서...

    월명스님만사형통(2021-09-20 16:4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