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괴와구려(愧窩舊廬)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0.5km
41
바로가기
죽림헌(竹臨軒)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1.1km
40
바로가기
갈계정(葛溪亭)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1.2km
37
바로가기
송하재사(松下齋舍)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1.7km
38
바로가기
예천임씨 금양파 종택(醴泉林氏 錦陽派 宗宅)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2.1km
42
바로가기
만초고택(晩樵古宅)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2.2km
95
바로가기
영벽헌(暎碧軒)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6.5km
68
바로가기
안동향교(安東鄕校)
'임호서당(臨湖書堂)'에서 6.7km
123
바로가기
조선 후기 서원. 임호서원은 이간(李幹,1576~1637)과 이안방(李安邦)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977년에 복원되었다. 이간의 본관은 영천(永川),자는 공직(公直),호는 괴암(乖庵)이다. 이숙량의 문인이며,정탁(鄭琢) 이산해(李山海)의 문하를 종유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모아 적과 싸워 영천성(永川城)을 수호...
만만이의 세상 보기(2024-02-14 20:49:00)
23)에 이간을 기리기 위해 하양 마흘리(馬屹里)에 건립한 임호사(臨湖祠)에서 유래한다. 임호서원(臨湖書院)은 이간(李幹)[1576~1637]과 이안방(李安邦)을 제향...유허비(遺墟碑)를 세웠다. 이후 1934년에 임호서당(臨湖書堂)을 건립하였다. 1977년에 임호서당을 강당으로 하고, 사당인 경의사(景義祠)를 신축하여 임호...
세세, 세월따라 세상따라(2024-08-26 19:44:00)
안동 임호서당(臨湖書堂) 임호서서당은 雲川(운천) 金涌(김용) 선생을 제향하던 서원이었습니다. 당초 인천서원 舊址(구지) 옆에 강당을 세워 운천 선생을 제향했는데, 1981년 현 위치로 이건했습니다. 김용선생의 字(자)는 道源(도원), 號(호)는 雲川(운천), 본관은 의성입니다. 34세에 문과에 급제하고 承文院副正學...
여행은 행복이다(2016-08-30 17:12:00)
의양서당이라 하였다.서원의 주향은 남효온 선생으로 본관은 의령, 자는 백공, 호는 추강·행우·최락당·벽사이며, 시호는 문정이다. 또한 김종직의 문인이며, 김굉필·정여창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1513년 소릉 복위가 실현되자 신원 되어 좌승지에 추증되었고 1782년(정조 6)에 다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원호...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2023-11-30 06:12:47)
백학서당 모임자리에서 읊다 白鶴書堂堂會時吟 삼가 심안당에 운을 붙이다 〔영해에 있다〕 謹次審安堂韻 在寧海 활천정의 경로회에서 읊다 活川亭敬老會吟 임계정에서 만나 나눈 대화 臨溪亭會話 산천재 낙성에 운자를 부치다 山泉齋落成韻 완귀정에 오르다 登玩龜亭 삼가 명지재의 중건에 운을 붙이다 〔청송 당지에...
공자서당(2024-08-14 09:16:00)
서원, 임호서원 , 흥암서원 등 여러서원에서 역시 교육을 담당했고, 유명한 조선의 의료시설 존애원에서도 교육을 실시했다. 우선 신잠의 약력에 대해서 알아본다. 신잠(申潛)[1491~1554]의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 또는 아차산인(峨嵯山人)이라고 하며 아차산에 은거할 때 시와 서화...
이종하등산기(2020-11-17 23:56:57)
1874년 하계 문중(下溪門中)이 어떤 殉節者에 대한 포상 청원과 관련하여 臨湖書堂에 보낸 통문(通文) 기본정보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내용분류: 사회-조직/운영-통문 작성주체 하계 문중, 임호서당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874 형태사항 크기: 29 X 62.1 장정: 낱장 수량: 2장 재질...
전주류씨 22세손 류병훈의 사랑방(2019-09-03 20:54:00)
1620) 선생을 제향하던 서원이다. 당초 임천서원(臨川書院) 구지(舊址) 옆에 강당을 세워 운천 선생을 제향했는데, 1981년 현 위치로 이건했으며, 임호서당(臨湖書堂)이라는 현판이 강당 내부와 외부에 게판되어 있다. 임호서당 지나 임하 본 동네 들어 오는 초입에 고가 문화재로 지정된 국탄댁이 자리잡고있다 국탄...
유리알 외눈박이(2012-06-29 08:43:31)
같다고 후기를 쓰신 분이 있던데, 모든게 생각하기 나름이겠죠. 지하자원을 개발한다는 것은 어쩌면 미래의 세대가 사용할 것을 우리가 미리 앞당겨 사용한다는 뜻과도 같습니 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것만 지금 사용하고 나머지는 후손들을 위하여 남겨두어야 합니다. 우리의 탐욕이 후손들을 배...
바람과 함께 가련다(2012-04-03 23:35:00)
임하리(臨河里) 고분군, 호계서원(虎溪書院:지방유형문화재 35), 은곡서당(隱谷書堂:지방유형문화재 36), 임하리 동(東)3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105), 임하리...임하리 연화대 좌석(蓮花臺座石), 원림사지(院林寺址) 5층석탑, 임호서원(臨湖書院), 신덕리(新德里) 고분, 만우정(晩愚亭), 사빈서원(泗濱書院), 의성김씨...
나그네의 구석구석 여행(2021-10-26 07:31:06)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