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치성광여래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원설로 239-19
'신중도'에서 0km
향토유적 제58-1
바로가기
두창리 삼층석탑
'신중도'에서 2.2km
향토유적 제19호
바로가기
두창리 선돌
'신중도'에서 2.3km
향토유적 제39호
바로가기
용천리 오층석탑
'신중도'에서 3.4km
향토유적 제66호
바로가기
안희중 효자정문
'신중도'에서 4.6km
향토유적 제68호
바로가기
가창리 부도
'신중도'에서 5km
향토유적 제23호
바로가기
허적 영정
'신중도'에서 5.1km
향토유적 제25호
바로가기
목신리 보살상
'신중도'에서 5.5km
향토유적 제55호
바로가기
특징을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 18세기 불화하면, 소재․표현기법․畵格이 조선후기를 통틀어 가장 질적인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조선후기 신중도는 대개 帝釋․梵天, 혹은 帝釋․梵天․金剛天을 크기 면에서 대등하게 묘사하는 것이 통례인데, 이 작품은 帝釋․金剛天만의 2존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5-02-14 20:36:00)
아쉽게도 화기는 훼손되었으나 수화승 밀기(密機)가 확인되어 그가 활동했던 18세기 중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 2) 신중도, 조선 후기, 크기 265X205cm. ‘신중도’는 가로 265cm, 세로 205cm의 액자 형태로 보광전에 봉안되었던 것이다(사진 2). 신중이란 부처의 정법을 수호하고 지키겠다는 여러 호법신...
옛책의 香氣 [書卷氣 文字香](2025-01-27 05:53:00)
법인 선학원의 중심 건물로 1층은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으 로 2층은 법당으로 쓰인다. 바로 2층 법당에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늙은 신중도(신중탱)가 있다. 5. 선학원 신중도 신중도는 위태천 등 호법신의 무리를 빼곡히 담은 탱화로 주로 법당이나 그에 준하는 중요한 건물에 봉안한다. 이 신중도는 선학원에서 가장...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2023-06-06 03:32:38)
웅장한 바위 병풍으로 둘러싸인 아담한 서운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25호 신중도 불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25호로 지정된 신중도 불화 조선 후기에 크게 유행하여 조성된 신중도(神衆圖)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神)들을 그린 그림으로 사찰의 대웅전이나 극락전을 비롯한 모든 불전(佛殿)에 반드시 봉안되는...
알콩달콩 호와 숙이의 집(2024-08-16 09:31:00)
주차장 : 송암미술관 내 주차장 있음 송암미술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비류대로55번길 68 송암미술관 그럼 송암미술관 가족 교육 프로그램과 신중도 특별전시 관람 후기 시작해 볼게요. 주차장 송암미술관 내 주차장 있어요. 미술관 입구에 진입하면 바로 주차장이에요. 주차 공간은 많지 않지만 방문할 때마다...
반짝이는 일상의 기록(2024-08-29 15:43:00)
항상 변함없이 신선하답니다. 오늘도 부천 신중동 맛집 예당 샤브샤브 초밥 뷔페에서 맛있게 먹고 갑니다. 건강한 야채 먹는다고 왔는데, 너무 과식했는 거 아닌지 모르겠네요.ㅋㅋㅋ 부천 신중동 맛집 예당 샤브샤브 초밥 뷔페에서 후기 포스팅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도 이웃님들 활기차게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꿈꾸는도토리(2025-03-14 18:09:00)
19세기 경상북도의 대표적 화승 퇴운당 신겸의 신중도 조선후기 신중도상의 수용과 변용의지 엿보이는 우수한 작품 [뉴스인팩트 윤수빈기자]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와 안동시(시장 권기창)는 안동시 소재 비지정 불교문화유산인 「안동 유하사 신중도(安東 遊夏寺 神衆圖)」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고시...
뉴스인팩트 감시와 대안 독립언론(2024-07-24 02:50:00)
비단 바탕에 채색된 불화 작품 조선후기 신중도상 수·변용 사례 사불산화파 신겸 주도 작품으로 18~19세기 미술사·학술적가치 커 경북도와 안동시는 안동시 소재 비지정 불교문화유산인 '안동 유하사 신중도(安東 遊夏寺 神衆圖)'를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고시했다. '안동 유하사 신중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
대구경북대표일간지 경상투데이(2024-07-23 14:02:00)
목조보살좌상. 조선후기 백양사 청류암 지장시왕도. 1863 청류암 목조아미타불좌상. 1688년. 전남 유형문화유산 청류암 삼세불도. 1893년 청류암 신중도. 조선후기 금동관음보살좌상. 일제강점기 불중박 전시 사진(2023년) 2023년 불중박 전시(2023년) 산신도. 설명문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석조관음보살좌상. 1927년...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5-03-23 07:58:25)
등록)일: 2014년 4월 16일 소재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806-12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70번길 40-18) 문화재 설명 흥륜사에 소장되어 있는 <신중도>는 조선 후기에 가장 대중적으로 유행하였던 불화 형식이다. 부처의 정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인 위태천(韋駄天)을 중앙에 크게 그린 것으로 일명 <천룡도...
김씨네 문화재탐방 블로그(2024-07-20 22:4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