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가창리 부도
'허적 영정'에서 1.2km
향토유적 제23호
바로가기
사암리 선돌
'허적 영정'에서 3.6km
향토유적 제22호
바로가기
두창리 삼층석탑
'허적 영정'에서 4.7km
향토유적 제19호
바로가기
두창리 선돌
'허적 영정'에서 4.7km
향토유적 제39호
바로가기
치성광여래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원설로 239-19
'허적 영정'에서 5.1km
향토유적 제58-1
바로가기
신중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원설로 239-19
'허적 영정'에서 5.1km
향토유적 제58-2
바로가기
이주국 묘 및 신도비
'허적 영정'에서 5.3km
향토유적 제4호
바로가기
안희중 효자정문
'허적 영정'에서 5.5km
향토유적 제68호
바로가기
1680) 허적, 윤후 등 남인축출 ->서인집권 -> 남인 처벌을 두고 노론과 소론 분화 기사환국(1689) 송시열이 희빈장씨 원자책봉 반대 문제로 서인축출 ->남인집권...3대 60여년간 지속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등이 비변사 등 권력 장앙 매관매직, 탐관오리 수탈, 삼전의 문란 조선 후기 통치 체계의 변화 비변사 임진...
알찬하루(2025-04-11 07:19:00)
조선 후기 정치 ▶ 광해군 ~ 인조 : 선조의 뒤를 이어 ‘광해군’이 왕위에 오름. : 광해군 재위 시기, 영창대군을 왕으로 옹립하고자 함 (왕권이 불안했음.) 대동법 (광해군 때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 숙종 대에 이르러 전국으로 확대) : 이원익의 건의, 방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 공물을 현물로 거두지 않고...
일상을 단순하게 단단하게(2025-04-30 14:28:00)
효종 ) 영정법 실시!! (토지 1결당 쌀 4~6두로 고정) 김육의 건의로 시헌력 도입 (효종 때부터 사용) *효종은.. 알지? keyword: 나선정벌-조총부대, 북벌운동...복상 기간땜에 발생) 숙종 경신환국(1680): 서인이 !! 남인 꼰지름. --> 허적과 윤휴 등 남인을 몰아내고 서인의 정권 장악!!! 이후 남인에 대한 처벌을...
5sebaschan(2025-01-24 01:11:00)
조세(영정법) 배경 양 난 이후 농경지 황폐화, 전세 제도의 문란 내용 인조 때 실시,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를 토지 1결당 쌀 4~6두로 고정 결과 전세 이외에 각종 수수료와 운송비 부과 등으로 농민의 부담 증가 2 공납(대동법) 배경 방납의 폐단으로 농민 부담 증가 내용 * 광해군 때 경기도에서 처음 실시(선혜청 설치...
萬綠叢中紅一點(2025-04-22 10:02:00)
안향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 분청사기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맑게 거른 백토로 표면을 꾸민 뒤 유약을 씌워 구운 도자기이다. ⭐️ 16세기 백자는 깨끗하고 검소...작품을 지었다. 📖 21강 추가 내용 👉🏻 👉🏻 👉🏻 👉🏻 👉🏻 👉🏻 👉🏻 👉🏻 2️⃣2️⃣ 강. 조선 후기(정치) ⭐️ 사림은 척신 정치의 청산과 이조 전랑의 임명 문제를 둘러싸고 동인...
디버거도 버거다(2024-10-09 11:07:55)
④ 허적과 윤휴 등 남인들이 대거 축출되었다. ← 숙종, 경신환국 ⑤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되었다. ← 현종 출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심화) 제...시행이 미루어져 왔다. 정답 : ④ 전세를 1결당 4~6두로 고정하는 영정법을 제정하였다. ← 인조 ① 공신에게 공로와 인품에 따라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반짝반짝 빛나는 관광통역안내사 blog *^^*(2024-12-06 16:01:00)
서인, 허적과 윤후 축출 기사환국(1689): 서인->남인, 장희빈, 송시열 축출 갑술환국(1694): 남인->서인 서인이 소론, 노론으로 분화 경기도가 갑 탕평 영조: 탕평비, 완론 탕평(붕당x), 서원↓, 속대전, 균역법(1년1필), 신문고 재설치 정조: 준론 탕평(붕당o), 규장각(초계문신제), 장용역, 대전통편, *신해통공(시전...
대갑이 블로그(2025-02-10 10:54:00)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 김극효(金克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상관(金尙寬)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광찬(金光燦)이며, 어머니는 목사 김내(金琜)의 딸이다. 1645년(인조 23) 반시(泮試)에 수석하고...
보현당의 묘지기행(2024-12-06 12:57:00)
시대 후기의 기인을 말한다. ▶수재(守宰) : 고을 수령(守令).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 등 지방관의 통칭. ▶반록(班祿) : 관리의 녹봉(祿俸). ▶조빙(朝聘) : 중국과 통교(通交)하는 것. ▶탕장(帑藏) : 내탕고(內帑庫)에 보관된 재물. 조선의 수세(收稅) 체계는 전세(田稅), 요역(徭役), 군역(軍役), 공납...
새소리 바람소리(2025-03-11 06:00:00)
남인인 허적의 서자 허견의 역모가 고발 당함. 남인이 몰락하고 서인이 집권. 남인 처벌 문제를 두고 서인이 강경파 노론과 온건파 소론으로 분화 기사환국 : 희빈 장씨 소생의 원자 책봉에 서인이 반대. 서인(송시열)이 축출되고 남인이 집권. 인현 왕후가 폐위되고, 희빈 장씨가 왕비로 책봉 갑술환국 : 남인 몰락...
기록장(2025-02-10 21:0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