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천정사(山泉精舍) 지도 이미지

산천정사(山泉精舍) 10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산천정사(山泉精舍)
문화유적지정번호
34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 796-4
지정일자
2010-03-12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면 3칸, 측면 1.5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산천(山泉) 이적(李適, 1566~?)을 기려 1939년에 건립하였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840-5227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8-12
제공기관코드
5,07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6446.21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안동문화관광지

경상북도 안동시 관광단지로 346-30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7.62km

바로가기

하회관광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17.26km

바로가기

탑산약수온천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리원2길 88-42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26.79km

바로가기

예천포리관광지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복골길 150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26.91km

바로가기

김수환 추기경 사랑과 나눔 공원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군위금성로 270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33.84km

바로가기

선바위관광지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영양로 883-16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33.95km

바로가기

사라온 이야기 마을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서길 49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34.46km

바로가기

예천삼강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53-23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37.2km

바로가기

주왕산 관광지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로 494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38.44km

바로가기

신라불교초전지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도개다곡길 389-46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40.79km

바로가기

회상나루관광지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갱다불길 97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41.36km

바로가기

경천대관광지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52

'산천정사(山泉精舍)'에서 42.6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산천정사(山泉精舍) |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전- 호암미술관

    나라 산천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화폭에 옮겼다. 먼저 겸재가 청하현감으로 재임할 당시(1921~1726)에는 친구 이병연이 삼척부사로, 이병연의 동생 이병성이 간성 군수로 있었다. 그래서 정선은 그들과 함께 간성, 삼척, 청하 등 동해안 일대 관동의 명승을 두루 여행할 수 있었다. 이때의 추억은 청하현감 2년만에...

    홍채영의 Story(2025-07-10 17:32:00)

  • 산천정사(山泉精舍) | 충북 옥천편 - 이지당 & 죽향초등학교구교사와 정지용 생가 & 용암사

    보면 '정사(精舍)건축에 2층의 누를 덧붙여 지은 경우는 매우 드문 형태'라고 한다. 누마루에 올라서서 풍광을 즐기고 싶었지만 출입이 막혀 있었다. 까치발로 첫번째 계단을 딛고 서서 팔을 뻗어 겨우 찍었지만 아쉬움만 더했다는... ​ 오른쪽 누마루의 모습이다. 공간은 왼쪽 누마루처럼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바깥에서...

    카르페디엠(2025-05-21 22:51:00)

  • 산천정사(山泉精舍) | 인곡정사(仁谷精舍)에서 책 읽고 그림 그리던 겸재처럼

    당시 조선 화가들이 중국풍의 관념적인 산수화를 그리던 것과는 달리 우리 산천을 직접 답사한 후 그 참모습을 조선 사람의 정취를 담아 그려낸 ‘진경산수화...나는 위에서 언급한 대표작들도 물론 좋지만『인곡유거도(仁谷幽居圖)』와 『인곡정사(仁谷精舍)』,『독서여가(讀書餘暇)』에 마음이 무척 많이 끌렸다. 정선...

    신현수(2024-07-17 22:37:58)

  • 산천정사(山泉精舍) | '인왕제색도' 톺아보기 2

    仁谷精舍圖)>(1746)를 떠올리게 하며, 정선의 사후에도 <인왕제색도>가 집안에 보관되어 있었음을 제시한다. 정선, 인곡유거도, 종이에 수묵담채, 27.4×27.4cm, 간송미술문화재단.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그러나 정선의 인곡정사는 지금의 옥인동인 인왕산 아래 골짜기로 그림의 집과 위치상 상당히...

    데일리아트(2025-04-24 15:41:26)

  • 산천정사(山泉精舍) | 한국의보물(寶物)2265호부터 2273 호까지 입니다

    조선 후기 명부조각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은 무염의 작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해심의 독자적인 양식적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발원문을 살펴보면 무염 유파의 사승(師承) 관계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즉, 화원질의 양사(養師) 무염(無染...

    韓氏아저씨블로그(2025-03-07 00:00:00)

  • 산천정사(山泉精舍) | 초보산꾼 추억일기 - 도봉서원과 각석군(刻石群) - 도봉계곡에 남겨진 흔적들.. (16년 자료)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 우암 송시열의 글씨라고 하고 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는 신원 미상 묵객의 글씨라고 소개하기도 한다 빼어난 도봉산의 자연을 벗삼아 도봉서원을 중심으로한 유생과 문인들이 드나들기 위한 입구인 것이다 ​ ​ ​ ​ 처음으로 계곡으로 들어와 보니 이렇게 길이 잘 가꾸어져 있다. 그런데 끝이 막혀...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5-03-04 17:54:00)

  • 산천정사(山泉精舍) | 계절의 진객, 두릅을 만나러 가는 날

    일동정사(日東精舍)라 부르며 늘 경전을 가까이 한 채 유유자적하였다 한다. 안동팔경의 하나인 가송협의 단애(斷崖)아래에 자리잡고 있다.주위에는 외병산(外屛山)과 내병산이 병풍처럼 둘러 있고, 낙동강의 상류인 가송협의 건너에는 송림과 함께 독산이 솟아 있어 절경을 이루고 있다. 건립당시 사정과 주위의 절경에...

    뫼벗(2025-04-29 22:16:00)

  • 산천정사(山泉精舍) | 담양 가볼 만한 곳 총 정리, 대숲의 고장에서 가사문학의 자취를 따라가다.

    풍월산천 속에서 한백년 살고자 한다”는 곳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추녀 끝은 4개의 활주가 받치고 있다. 목조기와집으로 측면과 좌우에 마루를 두고, 중앙에는 방을 배치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여러 차례 보수한 것이며, 1979년에는 지붕의 기와를 교체하였다. 최초의 모습은 초라한 초정...

    시솔길을 함께 걸어보실까요?(2024-11-28 18:31:49)

  • 산천정사(山泉精舍) | 74) 창주 이성길(滄洲 李成吉) : 조선 의병 창주의 예술혼, 무이구곡의 이상향에 담기다.

    있는데 산천과 나의 마음이 서로 융합되어 나중에는 나의 깨끗한 마음으로 귀결된다.(石濤, 『苦瓜和尙畵語錄』, “山川脫胎于予也 予脫胎于山川也 搜盡奇峰打草...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주희는 이러한 무이구곡의 명승지에 무이정사를 지어 자리하아 자연과 함께 거하는 삶을 살았다. 이로 인하여 무이구곡은 곧 주자...

    후강 권윤희의 Uni-Lab 미탐(美探)(2025-01-06 14:06:00)

  • 산천정사(山泉精舍) | 인지의 즐거움383 - 향촌사회의 문화공동체 공간, 서재와 고택, 장흥 열호재(悅乎齋)

    조선후기 장흥 남면(현 용산면) 상금 주변도(「장흥부지도」, 1872년, 규장각) 열호재 터자리는 1704년(숙종 30 갑신)에 수원백씨 상금 입향조 백진의 증손 경암 백서욱(警庵 白瑞旭, 1680~1743)이 자리를 잡은 이후 세거하여 12대에 이른다. 백서욱의 아들 금산 백치상(金山 白致相, 1708~1771)에 이어 백서욱의 증손...

    향토학(2025-02-09 15:38:51)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