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부여 황일호 신도비 및 황진 효자각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0.1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51호
바로가기
부여 김광악 정려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0.7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8호
바로가기
부여 밤골사지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0.8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3호
바로가기
부여 안동권씨 및 예천임씨 정려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동로142번길 37-9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1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31호
바로가기
부여 김영강 가옥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동로83번길 50-6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1.7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24호
바로가기
부여 정기세 불망비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3.1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78호
바로가기
부여 관음사지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3.3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2호
바로가기
부여 황신 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
'부여 황일호 사당'에서 3.7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43호
바로가기
의열사는 부여읍내의 남령공원 자락에 있는 사당이다. 사당에는 성충, 흥수, 계백 등 백제 삼충신과 고려 말의 이존오, 조선의 정택뢰, 황일호님의 위패를 모셨다. 의열사비에 자세히 기록 되어 있다. “국방을...
신바람 난 한국문화(Beautiful Korea) / 임덕수(20231009)
사당 앞 주소인 '부여읍 가증리 49'로 찾아 가기를 권해본다. 문화재청에는 황일호 묘소가 '부여읍 가증리 산12'로 되어 있다. 현장 안내판에 있는 가증리 산3번지가 옳은 것 같다. 문화재청에...
여행&사진(20140513)
성충, 흥수, 계백 등 백제 삼충신과 고려 말의 이존오, 조선의 정택뢰, 황일호님을 의열사 사당에 모셨다. 부여읍내의 남령공원 자락에 있다. 누가 모셨을까. 의열사비에 자세히 기록 되어 있다. 1575년 부여현감...
신바람 난 한국문화(Beautiful Korea) / 임덕수(20220522)
위해 부여현감 홍가신이 세운 사당이다. 후에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선비 정택뢰, 인조 (재위 1623∼1649)때 문신 황일호(1588∼1641)를 추가로 모셔 현재는 6명을 모시고 있는데, 해마다 봄·가을에 제사를...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0718)
지소 황일호 등 6인을 배향하였으며 춘향제는 매년 음력 3월 20일, 추향제는 음력 9월 20일에 봉행하고 있다. 의열사 외삼문 의열사 사당 의열사 관리사인 관선당 사당내 전경, 배향인물 6인의 위패와 진설된...
지암의 일상 이야기(20250418)
황일호의 부조묘 사당인 지소사(芝所祠)는 현재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에 위치하고 있다. 창강서원. <사진=한국유교문화진흥원> 파조 아술당 황진 입향조 황신의 아들 황일호에게는 황윤 (黃玧, 1623~1688), 황숙...
충남도정신문 공식 블로그(20241004)
위해 부여현감 홍가신이 세운 사당이다. 후에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선비 정택뢰, 인조 (재위 1623∼1649)때 문신 황일호(1588∼1641)를 추가로 모셔 현재는 6명을 모시고 있는데, 해마다 봄·가을에 제사를...
산나드리(20250321)
지소 황일호(창원황씨) 선생 등 6명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매년 음력 3월 15일, 9월 15일에 제향을 모시고 있다. 부여 의열사 전경 부여 의열사 사당 의열사 춘향제 분정기 고려조 석탄 이존오 선생 축문...
지암의 일상 이야기(20230511)
제51호 부여 황일호 신도비 및 황진 효자각 * 부여읍 가증리 58 25.3.20 부여군 향토문화재 제52호 부여 가탑리 사지 * 부영읍 가탑리 273-1 주소지에 흔적없음 G부여군 향토문화재 제54호 홍산 만덕교...
산나드리(20230614)
위해 부여현감 홍가신이 세운 사당이다. 후에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선비 정택뢰, 인조 (재위 1623∼1649)때 문신 황일호(1588∼1641)를 추가로 모셔 현재는 6명을 모시고 있는데, 해마다 봄·가을에...
(주)부여전통문화연구회(20240425)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