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부여 함양박씨 재실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배실로668번길 22
'부여 황신 묘'에서 1.4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7호
바로가기
원산정
'부여 황신 묘'에서 2.2km
4
바로가기
대금장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명덕로 105-14
'부여 황신 묘'에서 2.5km
10
바로가기
효자황춘억정려
'부여 황신 묘'에서 2.6km
13
바로가기
부여 황일호 사당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241번길 52-6
'부여 황신 묘'에서 3.7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42호
바로가기
부여 황일호 신도비 및 황진 효자각
'부여 황신 묘'에서 3.8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51호
바로가기
효자 박주은정려
'부여 황신 묘'에서 4km
33
바로가기
우공로 묘비
'부여 황신 묘'에서 4.1km
16
바로가기
申欽)·황신(黃愼)·서성(徐渻)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 『수북정집(水北亭集)』이 있었으나 화재로 거의 소실되고 낙본만 전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서원 표시판 : 백제문로 삼거리 : 국무총리 김종필 송덕비 : 규암 부풍사 : 부여군 향토문화재 제86호 부풍사는 김유신, 김일손, 김우항 3위를 모신 사당...
산나드리(2025-04-03 07:22:00)
滄江書院)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에 위치한 조선 후기의 서원으로,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황신(黃愼, 1560~1617)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629년(인조 7)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되었습니다. 1682년(숙종 8)에 '창강(滄江)'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나, 1871년...
한국 힐링 여행지 추천! 아토현의 광장(2025-04-30 23:02:49)
읽고 난 후 황신 관련 유적을 찾아봤고 부여에 청강서원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계획을 세운후 시기를 기다렸고 오늘 방문하게 되었다. 황신의 묘는 청강서원과 금강을 바라보고 있다. 묘 앞에는 비석과 상석, 동자석 2기, 문인석 2기가 배치되어있다. 황신 선생께 인사를 드렸다. 민초들을 위해 애쓰신 인물에게 내가...
Re노바티오의 일상.(2022-03-16 00:10:00)
입고 묘옆에서 살면서 몸소 음식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 윤은보의 아버지가 병이드니 곧 돌아가 약을 올렸는데 이때도 상복을 벗지 않았다. 한달여가 지나서...전국적인 예향(禮鄕)의 반열에 오르는 계기가 되었다.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 조선후기 김천도찰방(역장)을 지낸 이중환(李重煥)은 김천찰방으로 재임할...
경남_김해철물점_정암철물(2024-05-12 15:49:00)
김농, 황신, 이선, 왕사신, 고상, 정섭, 이방응, 나빙을 말하지만 고봉한, 민정을 보태기도 한다. 이들 전부에다 화암을 보태어 양주화파라고도 한다. 어락도(漁樂圖) 어민의 모습 또는 천렵의 정경을 주제 삼은 그림. 옆으로 길게 그려지는 두루마리의 연속화면에 강물과 늪이 주위의 자연경과 더불어 전개되 고, 그 속...
My - Art Box -(2010-10-23 22:56:03)
신, 묘, 능, 일). BC1000년경 로마시대 ⊙ 그리스 문화의 계승, 실용적, 대규모적 토목 공사, 초상 조각의 발달. ⊙ 건축: 주피터 신전(코린트식), 판테온 신전(코린트식), 원형 경기장(콜로세움), 극장, 욕장, 개선문(티투스 개선문,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 조각: 아그리파상, 시이저상, 아우구스티누스상, 카라칼라...
노트(2009-02-17 19:37:00)
성격을 부여했다. ⊙ 건축: 중세 기독교 사원 건축(성 소피아 성당, 성 비탈레 성당, 성 마르코 성당)-사각, 다각형 위에 돔 천장, 육중한 벽돌 건축으로, 내부...벽돌, 유전사천왕상 벽돌 등. 수, 당 시대 ⊙ 건축: 주작대로(장안), 영태공주묘. ⊙ 조각: 소상(塑像)이 유행. 엷은 의상으로 관능미를 표현. ⊙ 공예...
♡목마른 오아시스♡(2004-12-02 19:36:00)
김농, 황신, 이선, 왕사신, 고상, 정섭, 이방응, 나빙을 말하지만 고봉한, 민정을 보태기도 한다. 이들 전부에다 화암을 보태어 양주화파라고도 한다. 어락도(漁樂圖) 어민의 모습 또는 천렵의 정경을 주제 삼은 그림. 옆으로 길게 그려지는 두루마리의 연속화면에 강물과 늪이 주위의 자연경과 더불어 전개되 고, 그 속...
parkho1001님의 블로그(2004-11-08 17:05: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