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김세준 정려각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1.8km
향토3
바로가기
전주최씨12정려각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3.4km
향토4
바로가기
효우당 이종검 정려문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서운로 383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4.3km
안성시 향토유적 제44호
바로가기
의병장홍자수묘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4.5km
안성시 향토유적 제31호
바로가기
조성신도비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6.1km
향토41
바로가기
입장기미독립기념탑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6.6km
향토47
바로가기
성환찰방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6.7km
향토37
바로가기
선인덕수장씨정려각
'안성용화사 석조여래입상'에서 6.7km
향토2
바로가기
온 이유인 석조여래입상이 계신다.. 전설의 석조여래입상 옆에 작은 바위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아 담는데 실패.. 안성용화사석조여래입상 안성시 미양면 법전길 260-31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45호.. 용화사(龍華寺)는 지소현 스님이 불교 포교를 위해 고향으로 내려오던 중에 용이 하늘로 오르며 자신이 솟아난 땅을...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4-09-29 13:14:00)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향토유적 제 45호) 안성시 미양변 법전길 260-31 (법전리 181) 용화사는 안성 미양면에 위치한 곳으로 천안으로 진입하는 직전에 있는 절이다. 옆에는 일반 가정집이 같이 있는데 스님이 기거하는 절은 아닌 듯 했다. 용화전에는 석불이 있는데 미륵불이라고 한다. 미륵불은 세상에 출현하여...
우리마을 문화유산답사기(2025-03-03 14:36:00)
1954년 용화사 사찰을 세우고 약사전 건물을 만들어 불상을 보존하고 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약사전 건물 안 왼쪽에 있는 높이 약 2.6m의 불상으로 중생의 병을 고쳐준다는 둥근 약그릇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불"을 표현하였다. 아쉽게도 광배⑴는 없어졌고 대좌⑵는 통일신라 전형적인 양식인 연꽃을...
문화유산 사진첩(2025-04-18 12:15:00)
석불상 2개를 소개드립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과 석조여래입상으로, 어떤 모습인지 방문 후기 공유드려요. 방문 정보 🏡 방문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석불좌상 & 입상 용화사 입구에서 찍은 경내의 모습이고, 입구 바로 왼쪽에 석탑이 있고, 정면에 용화사의 주불전인 약사전이 있습니다. 용화사는...
MJ의 방방곡곡(2025-03-17 08:40:00)
여래입상이 모셔진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의 용화전. 안성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안성시 향토유적 제45호) 미륵불로도 불리는 이 석불은 석가모니의 뒤...균형 있게 자리하고 목에는 삼도가 있다. 전체적인 조각 수법을 보면 조선 후기 유행한 미륵불의 영향을 받아 19~20세기 초 절을 창건하면서 제작된 것으로...
story77616(2024-01-19 00:23:00)
의하면, 사창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절이 있는데, 석조 미륵상 2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54년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과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의 보호각을 세우면서 용화사가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는 약사전과 요사채 2동이 있다. 약사전 앞에는 통일신라 후기 양식의 3층 석탑이 있는데, 함창읍...
자연이 주는 감동 Beautiful Korea 구석구석 이곳에(2025-04-16 06:00:00)
5번 '안성사'가 새겨진 기와 쇠 차축머리, 쇠보습, 나무절구, 절굿공이, 청동 잔, 상서로운 동물을 새긴 거울 상대동 일대의 발굴 작업이 끝난 후, 고려의 유물들은 대전시립박물관에 잘 보관되었습니다. 그 이후의 상대동 개발사업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궁금해서 상대동의 두 아파트를 돌아보았는데, 사진 몇 장으로...
나와 우리의 시간을 위하여(2025-03-20 23:05:00)
비롯한 많은 사찰이 있었는데, 지금은 석조보살입상, 용화사 석불입상, 보문산 마애여래좌상과 약사여래좌상 그리고 보문산 터 등이 남아 있다. 조선 조선 전기...우암 송시열 선생이 서문은 지은 회덕향안 사육신 박팽년 선생의 시와 글이 기록된 유고 송자대전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성리학자인 송시열의 문집이다. 그...
까칠양파 잡화점(2025-04-17 07:30:54)
불상의 신체비례와 조각수법을 볼 때 불상 3구 모두 전형적인 조선시대 후기 불상입니다. 죽림리 삼층석탑 이 탑은 전체 높이가 363cm이고, 지대석은 가로...왕후어필칠언시입니다. 출처 칠장사 홈페이지 보물 제983호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호 철당간입니다. 출처 칠장사 홈페이지...
레미의 하루(2025-03-25 15:44:00)
곳으로 안성 8경 중 제1경으로 꼽히는 칠장사는 규모는 크지 않지만 국보, 보물, 유형문화재 등 다수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며 역사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간직...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진흙을 붙여 채색한 소조불(塑造佛)로 조선 후기 조성된 사천왕 중에는 매우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현재 칠장사는 대웅전...
여행을 꿈꾸는 사내(2025-03-14 11:2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