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지도 이미지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3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문화유적지정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51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비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중정리 62
지정일자
2020-04-03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2동/1기
조성시대
근대
향토문화유적소개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관리기관전화번호
041-830-2622
관리기관명
충청남도 부여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2-05
제공기관코드
4,57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부여군

블로그 리뷰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신도비 거북 머리 방향

    황제 및 제후들이 모두 신도비를 세웠다. 처음에는 그 각문(刻文)이 다만 '모제(某帝)' 혹은 '모관신도지비(某官神道之碑)'라고 하였다. 그러다가 한(漢)나라 양진(楊震) 때 종2품 이상에 한하여 세웠다. 고대위양공지신도비(故大尉楊公之神道碑)가 전해 내려온다. 고려시대에는 《동문선(東文選)》 등의 문집에 비문...

    김영기박사의 세상보기(2025-03-27 09:56:00)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부여 온해리 윤집 묘 및 신도비

    윤집 묘 및 신도비는 충남 부여군 내산면 온해리에 위치해 있으며 부여에서 보령으로 가는 4차선 국도에서 약 2키로 정도 들어가 온해1리 마을회관 뒷편...남측 끝자락에 위치해 있어 찾아보기도 쉽다. 윤집(尹集, 1606-1637)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南原)이고,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고산...

    지암의 일상 이야기(2025-03-22 13:29:00)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진주시 - 증형조판서 김준민 신도비 및 신도비각

    시대 후기의 비 및 비각의 연구와 변화를 살필 수 있는 문화유산로서 가치가 있다. ​ -국가유산포털에서(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증형조판서김준민신도비및신도...강조된... 조금은 미소가 지어지는... 조금 유식하게 표현하면 해학적이라는 말을 쓸 수도 있을 그런 모습입니다. 신도비의 해석문을 제대로 읽지 않아서...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12-30 21:10:00)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평이하여 난해한 전아(典雅)의 경지

    중기와 후기를 거치며 민간의 목판 인쇄가 크게 발달했다. 인쇄된 책의 유통량이 이전 시기에 비해 폭증하여, 전에는 얻어보기 힘들던 고전도 비교적 손쉽게 입수할 수 있게 되었고 당대의 최신 유행에도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문화 전반의 흐름도 적잖이 바뀌게 되었다. 이몽양(李夢陽...

    정겨운 삶을 위하여 (G.U.Baek.) (2025-01-31 00:04:29)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서울/송파구] 올림픽공원 '몽촌토성'에 무덤이?

    유적 및 유물을 찾고 있다. 이 외에도 삼성동토성, 서울 방이동 고분군, 서울 석촌동 고분군, 거술 가락동 고분군과 하남위례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있다. ​ ​ ✔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 ​ ▣ 서울 夢村土城 사적 제297호 Mongchon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Seoul 首尔梦村土城 | ソウルモンチョン(夢村)土城 ​ 몽촌...

    휴휴한인의 일상(2025-03-31 23:27:00)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151. 금강 강변 서원탐방기(용강서원 등 5개소)

    조선 후기 기호지방의 대표적 별당 형식을 띤 정자 건축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홑처마이며, 처마 아래 중앙에 ‘보만정(保晩亭)’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앞면 3칸에 측면은 중앙에 넓은 칸과 양쪽에 반 칸을 둔 2칸 규모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방과 함께 대청마루와 툇마루가 있습니다. 방의 뒷면에는 동춘당 문집...

    먼 곳에의 동경(2024-09-21 21:34:03)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역사광복 3] 한반도의 조선 개국이후 대륙역사 폐기와 유명조선 사대사관의 태동 및 지속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대진(발해), 고려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한반도에 도읍을 정한 이씨조선의 왕인 세종 시기에 『고려실록』 등이 폐기되었다. 1424년(조선 세종 6)에는 유관(柳寬), 변계량, 윤회 등이 수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정본인 『수교고려사(讎校高麗史)』가 완성되었다. 세종 31...

    홍익경영전략(2025-04-27 20:10:00)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충절과 학문의 전통을 이어온 기계 유씨의 역사

    고려 후기에 이르러서야 경기도 남부지방으로 이주하면서 본격적으로 관직에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기계 兪氏의 시대별 주요인물 고려시대 초기 인물 유여해(兪汝諧) : 역사에 처음 등장하는 기계 유씨 인물로, 유의신의 후손으로 추정됨 유득선 : 좌복야를 역임 유선 : 판도판서를 지냄 유승계 : 판도판서를 역임...

    아우리르(2024-12-20 15:26:38)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한국 여행지 추천! "부여 창강서원" 계절마다 색다른 운치

    창강서원(滄江書院)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에 위치한 조선 후기의 서원으로,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황신(黃愼, 1560~1617)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629년(인조 7)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되었습니다. 1682년(숙종 8)에 '창강(滄江)'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나...

    한국 힐링 여행지 추천! 아토현의 광장(2025-04-30 23:02:49)

  • 부여 부양재 및 신도비 | 유구읍 국가유산 탐방 - 고간원지, 김시산 정려,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시호를 부여받았습니다. ​ 좌정언이라는 벼슬에 있을 때 의종 임금의 총애를 받던 내시 백선언 등의 잘못을 비판하는 간언을 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좌천...실록>을 편찬하였습니다. ​ ​ 고간원의 오른쪽에 충숙공 문극겸의 신도비가 있습니다. 신도비(神道碑)란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 고인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비석...

    흥미진진 공주 공식블로그(2024-11-27 11:0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