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구산성지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조말생 신도비'에서 2.5km
향토유적 제4호
바로가기
고령신씨 봉재공파 묘역
'조말생 신도비'에서 3km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16호
바로가기
문희공유창묘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암로79가길 49
'조말생 신도비'에서 5.2km
서울시유형문화재 제96호
바로가기
서울암사동유적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875
'조말생 신도비'에서 5.6km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267호
바로가기
광주이씨광릉부원군파묘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산12-1 외
'조말생 신도비'에서 5.6km
서울시유형문화재 제90호
바로가기
광주이씨 시조비 묘역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888
'조말생 신도비'에서 5.7km
향토유적 제7호
바로가기
망우산 2보루
'조말생 신도비'에서 5.9km
중랑구 향토문화재
바로가기
망우산 3보루
'조말생 신도비'에서 5.9km
중랑구 향토문화재
바로가기
그의 신도비 고종의 홍릉보다 조말생의 묘가 더 명당 같아 보여 그런데 제가 올라보니... 와 이런 곳이 명당 아닐까요? 발아래는 한강이 굽이쳐 흐르고, 멀리 하남시와 검단산이 내려다보이는 곳 말입니다. 지금에 보면, 남양주시 금곡동의 고종의 능보다, 수석동 조말생의 묘가 풍광도, 접근성도 훨씬 좋아 보입니다...
옛날 PD의 주저리 주저리(2025-04-18 08:00:00)
거북비, 서원학원 터 등이 있다. 석실 마을버스정류장에서 길 따라 마을로 들어가면, 새로 지은 집 옆에 보이는 신도비가 있는 곳으로 올라가면 조말생의 묘가 나옵니다. 조말생의 신도비. 석실서원 / 조말생 묘 아래의 석실서원지 표석. 석실서원은 조선 후기의 수많은 서원 가운데 정치적, 사상학문적으로 극히...
바위솔의 쉼터(2023-12-14 09:51:00)
조선 후기 세도정치의 온상이 되었던 바,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따라 없어지게 되었고, 지금은 그 터에 표석만이 세워져 있다. ※ 김상용이 강화도 남문에서 자폭(自爆) 순절한 것이 맞는지,(혹은 남문루에 쌓아놓은 화약 옆에서 담배를 피우다 실화되어 폭사한 것인지) 그의 동생 김상헌이 남한산성에서 척화...
아하스페르츠의 단상(2024-02-03 21:40:17)
문신 조말생의 신도비로 비신을 등에 얹은 거북이가 고개를 쑥 내밀어 왼쪽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이 특이하다. 마치 고종의 홍릉 천장으로 현 위치에 옮기기 전 묘의 본래의 자리인 홍유릉을 쳐다보고 있는 듯하여 이장을 예견하고 만든 것 같아 기이하다.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산2-2 왕실의 안녕을 빌던 오규정소...
Mt HikingKorea(2025-01-25 19:00:00)
조말생신도비 수석리 토성: 경기도 기념물 수석리 토성은 통일 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흙으로 쌓아 만든 군사유적이다. 수석리 토성은 흙을 모아서 쌓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 예로부터 주민들이 '토미제' 혹은 '퇴미제'라고 불러왔다. 성 둘레는 140~150m 정도로 비교적 작은 방어시설이며...
바람의길(2024-06-19 12:25:28)
terms.naver.com 덕소쪽으로 뻗어있는 한강 자전거길의 모습이다. 이 길을 따라 팔당대교를 거쳐 남한강자전거길이 이어진다. 내친김에 조말생신도비도 찾아보기로 했다. 조선후기 막강한 세도를 구가하던 안동김씨의 세거지라 많은 권력가들의 별서가 있던 이곳은 이제 다양한 모습을 한 카페들이 들어서고 있었다...
매일매일 행복하게(2021-07-10 19:50:00)
인물이다. ●조말생은 뇌물수수로 인해 재산을 축척하다 결국 귀양을 가게되는 모습도 보여 그저 어질고 현명하기만 한 인물은 아니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조선초기의 충신 모말생 안내판 요약] 당정섬 한강종합개발이 1990년대 중반까지 지속된 골재채취로 완전시 사라진섬이 상류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쌓이며...
sdh090872님의 블로그(2024-08-07 17:10:00)
조선후기 김상용과 김상헌의 충절과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된 서원입니다. 1656년(효종 7)에 사우(祠宇)를 창건하고, 1663년(현종 4)에 ‘석실(石室...후 1900년 고종의 묘가 금곡에 있는 홍릉으로 결정되면서 금곡에 있던 조말생의 묘가 수석리로 옮겨오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서원은 유교 문화와 교육을 상징...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3-09-26 16:52:00)
내려온 조말생 신도비 정도만 생각했는데, 제대로 소재 잡고 각 잡고 해서 멋진 그림을 그려냈다. 이를 통해 저자가 주장하는 바는 말미에 마각을 드러내거니와 그것을 나대로 정리하면 장소성 부여를 통한 유형유산의 무형유산화, 강 문화, 특히 저자가 말하는 양강을 중심으로 하는 한강문화권 복권을 위한 역사관...
AllaboutHistory(2023-08-17 18:36:22)
조선후기 한문비평> 1, 2권과 관련된다. 1권은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농암잡지 외편>을, 2권은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의 <운양만록>과 <도협총서>를 각 현토 후 역해하고, 소제목과 해설을 더한 것이다. 선생님께서는 <도곡집> 전체를 역해하신 바도 있다. 이번 답사는 농암과 도곡의 묘소를 중심으로 그...
덕보방(2023-05-20 21:22: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