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남향약 지도 이미지

계남향약 3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계남향약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문화재 1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남면 유천길 5
소재지지번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994-2
지정일자
2018-11-2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계남향약소
규모
7권
조성시대
일제강점기
향토문화유적소개
계남향약은 1915년 일제강점기 시기에 자발적 참여에 의한 향약을 조직하고 민주적 협동체로 협동활동을 잘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가 중요한 기록물이다. 향약 설립 당시 초기자료로 설립과정에 대한 기록물로서 가치가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3-350-2328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청 문화관광과
데이터기준일자
2024-04-01
제공기관코드
4,751,000
제공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블로그 리뷰

  • 계남향약 | 통권35호(2021년 11월)-장수군 계남면 《계남향약》, 향약은 살아 있다 (박경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또는 행정동 하부의 자연촌에 서의 주민자치조직으로 상호부조하던 수평적 생활공동체 조직이었다. ​ 백년사 자료에 따르면, 장수군에서는 계남향약의 전 신인 양풍회가 조선후기의 쇠퇴를 떨치고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조직되었다. 이어서 장계, 계북, 장수, 산서 향 약이 차례로 실시되었다. 양풍회 서문은 류재은이...

    전북문화살롱(2021-12-22 09:42:00)

  • 계남향약 | 11개 성씨가 함께 세운 학당 장수 흥학당

    臣)·여선덕(呂善德) 등 4명의 문과 급제자와 온표(溫彪) 등 10여 명의 생원진사 합격자가 배출되어 명문학당으로서 명성을 떨쳤다. 조선 후기 지역의 명문학당으로서 계남향약의 발상지로서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곳이다. 흥학당의 정문 반월문(半月門) 편액 흥학당의 정문인 반월문을 지나면 입덕문(入德門)이 있고...

    카메라둘러메고 대한민국방방곡곡(2022-11-02 10:13:49)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