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선원사 약사전'에서 0km
보물 422호
바로가기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
'선원사 약사전'에서 0km
보물 1852호
바로가기
선원사 동종
'선원사 약사전'에서 0km
도지정유형문화재 25호
바로가기
선원사 대웅전
'선원사 약사전'에서 0km
도지정문화재자료 45호
바로가기
경주김씨 보판각
'선원사 약사전'에서 0.3km
도지정유형문화재 161호
바로가기
용담검무(보유자 장효선)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용성로 204-10
'선원사 약사전'에서 0.5km
남원시 향토문화유산 1호(무형)
바로가기
남양방씨 분재기 및 교지 교첩류
'선원사 약사전'에서 0.5km
도지정유형문화재 241호
바로가기
남원 동북교회 선교종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봉당길 13-6
'선원사 약사전'에서 0.7km
남원시 향토문화유산 9호
바로가기
조선후기 민간 신앙인 관성신앙과 관련된 민속자료 보존가치가 인정됨. -국가유산포털에서(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남원 관왕묘 적토마도 (南原 關王廟...heritage.go.kr)) 서문주차장으로 돌아와서 다음으로 찾아갈 곳인 '남원 선원사'와 '창주서원'까지의 거리를 확인해 보니, 서문주차장에서 선원사까지 2.3...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10-19 22:20:00)
반갑더라구요. 선원사 법당에서 사시예불을 올리고, 연꽃박사 성원스님의 재미있는 연이야기 강연을 들었습니다. 연근 가루와 연잎 차가 만병통치약이고 불로...찍힌 사진을 볼 때마다 역시 카메라를 사야되..핸드폰으로는 무리야...싶네요...정말 너무 예뻤는데 말이죠...ㅜㅜ) 이 글은 전등사 후기마다 많이들 보셨을...
Memory Switch(2025-03-26 00:10:00)
강화 선원사에 있던 팔만대장경을 지천사로 옮겼다가 이듬해 이곳으로 옮겨왔다. 팔만대장경판전은 1995년 12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공식 지정되었다. 경내에는...해인사 3층석탑] 2중 기단과 3층의 탑신 및 지붕돌로 이루어진 통일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석탑 양식이다. 원래 이 탑의 받침은 신라 석탑 양식인 2중...
대한민국 관광지(2024-10-24 15:41:37)
조선후기 촉나라 장수 관우의 소상을 봉안한 사당.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남원 - 관왕묘 네이버 블로그 南原廣寒樓 (남녘 남, 언덕 원, 넓을 광, 찰 한, 다락 루)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양식이다. 춘향전으로 많이 알려졌으며 본래 이름은 광통루...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8-30 12:01:00)
신라 후기의 특징이지만, 풍만한 신체에 비하여 각 부분의 세부표현이 간략화된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마애석불좌상의 친견을 이루고 대곡리의 암각화를 보려 자리를 옮긴다. [봉황정] 대곡리 암각화는 이곳 대곡리의 봉황대에 자리한 바위에 새겨져있다. [대곡리 암각화...
세종해피뉴스(2023-10-24 23:54:55)
위해 선원사(禪院寺)를 창건하고, 객산인 교룡산의 강한 기운을 누르기 위해 대복사의 전신인 대곡암(大谷庵)을 창건한 것이다. 따라서 풍수적으로 볼 때 대복사는 파도를 막는 방파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조선 후기에는 절이 매우 퇴락하였던 것을, 뱀으로 화할 업보를 면하게 된 ‘대복(大福)’이라는 한...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2024-01-22 13:41:22)
나한전, 약사전이 있었으며 5층석탑, 석불입상, 당간지주, 석인상등이 있어 규모가 매우 큰 사찰이었다고 하며 만복사지 부근에는 백뜰, 썩은 밥배미, 중상골 등의 지명이 있어 당시의 사찰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백뜰은 만복사지 앞 제방을 말하는데, 승려들이 빨래를 널어 이곳이 온통 하얗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고...
대한민국 음식점(2024-01-22 13:39:57)
조선후기 문신 홍석주의 문집에서 처음 보이며 19세기 이후 사용하였으며, 삼보시찰은 선원, 강원, 율원의 세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 총림이라고도 함. - 우리나라 삼보사찰은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 순천 송광사로 양산 통도사는 자장율사가 중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가져온 진신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백조의 소소한 일상(2024-06-26 23:16:00)
1245년, 선원사를 창건했는데 그 무렵에도 오랜 역사를 가졌던 진종사가 대장경 조성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였을 것이라 추측되고 있다. 고려 왕실에서는 삼랑성 안에 가궐을 지은 후 진종사를 크게 중창시켰으며(1266년), 1282년(충렬왕 8년)에 왕비인 정화궁주가 진종사에 경전과 옥등을 시주하여 ‘전등사’라...
24시간 반짝이는 풍경여행(2023-07-28 19:14:00)
서쪽편의 만복사와 함께 그 규모가 상당히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원래의 사찰을 정유재란때 완전히 불타버리고, 오직 철불만 남았다고 한다. 현재의 사찰은 조선후기 영조때 남원부사가 지역의 신도계와 협의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복구하였다고 한다. 사찰은 철불을 모신 약사전과 중심불전인 대웅전, 민간신앙과 관련...
문화유산 답사(2010-11-24 14:3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