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흔남 묘비 지도 이미지

서흔남 묘비 6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서흔남 묘비
문화유적지정번호
기념물 제5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묘비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24-1
지정일자
2008-04-2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경기도 광주시청
규모
46m× 12.5× 115㎝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서흔남 묘비
관리기관전화번호
031-760-4821
관리기관명
경기도 광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1-22
제공기관코드
5,54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광주시

블로그 리뷰

  • 서흔남 묘비 | 남한산성 우리 문화재 답사기(feat. 연무관 서흔남 묘비 지수당)

    한강 남부 교역의 중심지 남한산성 성내장이었습니다. 산성장(성내장)은 조선 후기 한양 남부에서 송파장, 수원읍장 다음 가는 장터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남한산성 주민들은 이곳을 아직도 ‘장터’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 ​ 서흔남 묘비 연무관에서 다시 남한산성로를 따라 내려가면 우측에 남한산성 제4호 공영주차장...

    광주시 공식 블로그(2023-05-27 15:16:00)

  • 서흔남 묘비 | 11월 서울 근교 가볼만한 곳 가을 남한산성 탐방로 등산 후기

    봤는데 서흔남이라는 병자호란때 인조를 업어서 남한산성으로 대피시켰다는 분의 묘비와 중앙 주차장 옆 큰 소방서가 인상적이었어요 :) ​ 남한산성의 근처 소방서는 전통 느낌 살려서 기와 지붕으로 되어 있더라고요ㅎㅎ ​ 남한산성 등산 시작 ​ 남한산성 로터리에 도착해서 본격적으로 탐방로 등산을 해보았습니다...

    푸링의 여행같은 하루 ❤️(2024-11-09 07:49:00)

  • 서흔남 묘비 | 남한산성 트레킹 산성역부터 남문 동문 지나 남한산성면 불당리 히든카페까지

    조선후기 문신 서명응 등 세 사람이 백성을 사랑한 마음을 잊지말자는 불망비입니다 ​​ ​ 둔전 설명 ​ 둔전은 직접 군사들이 농사짓던 땅으로 광주 쪽 오전리등을 말하며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는 군사 1만명을 포함 약 2만 5천명이 있었다고 해요 ​​ ​ ​ 네 번째 계단을 넘어가면 남문까지는 거의 왔어요 ​​ ​ ​ 건널목이...

    산바다사랑(2024-06-07 06:17:00)

  • 서흔남 묘비 | 22.6.5 경기 광주 침괘정-연무관-서흔남묘비-지수당-개원사지-현절사-망월사-장경사-남옹성무인각석...

    있다. 서흔남의 묘비 2기이다. 하나는 온전한 상태이고 하나는 상부가 파괴되어 있다. 원래는 성남시 창곡동 병풍산에 있었으나 후손이 땅을 처분하고 묘를 이장하면서 비석을 버리고 간 것을 광주군청과 문화원에서 수거하여 1998년에 현재 위치에 보존한 것이다. 하나는 1667년 3월 13일에 건립한 것으로 전면에‘嘉義...

    산나드리(2022-12-21 13:05:00)

  • 서흔남 묘비 | 서흔남과 인조

    조선 후기(1593~1863) 연대 1600 년대 - 2010 년대 ​ 경기도 하남시 감이동의 옛 이름은 ‘널무니’이다. 이 마을에서 태어난 천민 출신의 ‘서흔남(徐欣男)’이 병자호란 당시에 전령으로 많은 역할을 담당했다고 한다.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할 때는 서흔남이 인조를 업고 남한산성에 올랐으며, 남한산성 안팎의 소식...

    For Nature(2021-02-16 08:35:00)

  • 서흔남 묘비 | 남한산성 사당과 비석군, 현절사와 청량당

    이 바위에 앉아 슬피 울다가 없어져 버렸다고 한다. <출처:광주시청> 서흔남묘비. 서남흔은 관노비 출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큰 공을 세워 당상관 벼슬까지 올랐던 서남흔의 묘비이다. 사대부 세력이 막강했고 신분질서를 강조했던 조선후기에 노비출신으로 정2품의 벼슬까지 올랐다고 것으로 볼 때 당시 사람들 누구나가...

    문화유산 답사(2011-12-26 14:58:27)

  • 서흔남 묘비 | 지수당(地水堂)_남한산성

    조선 후기 현종 13년(1672년)에 광주 부윤(지금의 시장급) 이세화(李世華)가 연못가에 지은 정자라고 하며, "지수당(池水堂)" 이란 뜻은 "지수당기"에서 "백성을 포용하고 기른다" 라는 내용이라고 하였습니다. ▼ 지수당(池水堂)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의 건물로서,현종 13년(1672년) 광주부윤 이세화(李世華...

    바람이 가는길(2022-07-13 13:30:39)

  • 서흔남 묘비 | 남한산성 5

    산성 후기 일시-2011년 11월10일 목요일 코스-남문(지화문)-영춘정-수어장대-서문(우익문)-연주봉옹성-북장대-북문(전승문)-동장대터-장경사지옹성-동문(좌익문) 참가인원-강효선,김미희,김순옥,노혜경,손진,이윤정,전송이,제성숙 (가나다순) 가을 햇살에 나풀거리던 억새꽃도 사그라져 가고 가을 그리움에 핏빛으로...

    초록별에 부는 바람(2011-11-10 20:22:34)

  • 서흔남 묘비 | [남한산성] 둘레길 코스3/코스5 남한산 인증석찾기 - 블랙야크 명산플러스-1일2산 1탄

    찾는 후기가 많아서 상세히 썼기때문에 스크롤압박 주의 남한산성 높이 : 남한산 (522m) 코스 : 세계유산센터→ 역사테마길3코스 → 5코스→ 세계유산센터 날씨 : 맑음 햇빛쨍쨍 난이도 : ★☆☆☆☆ 등반일 : 20210612 ​ ​ 조선시대 남한산성은 주봉인 해발 497.9m의 청량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연주봉(467.6m), 동쪽...

    융여의~심심풀이 땅콩(2021-06-15 13:35:00)

  • 서흔남 묘비 | 남한산성 기을 산책, 지수당과 열녀 이야기

    연못이 아름답지만 오늘은 3가지를 주목하고자 한다. 이세화 선정비와 서흔남의 묘비와 홍재윤 선정비가 그것이다. ​ 이세화 선정비 ​ 지수당 남쪽 마당에 이세화...세화청덕민선정비(府尹李卿世華淸德民善政碑)'. 이세화(1630~1701)는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와 이조판서를 거쳐 지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1689년 기사환국...

    산처럼 물처럼(2020-11-12 05:1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