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육불망비 지도 이미지

김육불망비 5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김육불망비
문화유적지정번호
11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기타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라면 수동길 8
소재지지번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473
지정일자
2002-12-14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해영가옥 입구 좌측에 위치. 비는 기단, 비신, 이수로 구성. 호남지역의 대동법 실시를 여러 차례 건의하고 유언으로까지 임금에게 간하여 그 고마움을 표시한 일종의 선정비.
관리기관전화번호
063-859-5789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7-24
제공기관코드
4,681,000
제공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주변 관광지 숙소

블로그 리뷰

  • 김육불망비 | 四字成語 총정리 1,033 (김신부부전~김육불망비)

    쓴 것이다. ​ 金楺肖像 (성 김, 휘어구부릴 유, 닮을 초, 모양 상)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인 김유(1653-1719)의 초상화. 김유는 1699년(숙종25) 문과에 급제하고...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김육의 불망비. 김육金堉(1580∼1658)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실학적 개혁 정치가이다...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8-14 11:14:00)

  • 김육불망비 | 경기옛길스탬프투어 삼남길 제10길 소사원길 옥관자정 대동법시행기념비 여행정보

    앞 #대동법시행기념비는 경기도 평택시 소사동 140-1번지에 위치한 조선 후기 기념비이다. 이곳은 대동법(大同法)의 시행을 기념하며, 조선의 조세 제도 개혁을...비석은 높이 2.5m, 너비 1m 규모의 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김육공대동균역만세불망비(金堉公大同均役萬世不忘碑)'라는 제목의 국한문 비문이 새겨져...

    실버강의 찐여행정보(2025-10-26 07:13:00)

  • 김육불망비 | 전북 전우회 부여에 가다

    고려 후기의 석비 양식을 나타내고 있어 불교사 연구에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 당 유인윈 기공비(唐 劉仁願 紀功碑) 당나라 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부소산에 있던 것을 박물관으로 옮겼다. 비에는 유인원이 당나라 고종에 의해 발탁된 이후의 활동상을 남기고 있으나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멸망...

    옥산(2025-10-17 21:05:00)

  • 김육불망비 | 대동법 시행기념비(大同法 施行記念碑)

    있는 대동법 시행기념비(大同法 施行記念碑 : 시도문화재)는 조선후기 1651년(효종 2)에 김육(金堉)이 영의정으로 있을 때 충청도에 대동법을 시행토록 상소하여...하였다. 비의 원이름은 ‘金堉大同均役萬世不忘碑(김육대동균역만세불망비)’ 또는 ‘湖西宣惠碑(호서선혜비)’라고도 한다. 비문은 홍문관부제학 이민구...

    마실풍경(2025-11-18 04:20:00)

  • 김육불망비 | 이민철묘-유창근가옥-왕흥사지-호암사지-천정대-소룡골백제건물지-청산성-석목리석조비로-정기세불망비

    기세불망비 - 1:51 관음사지 - 1:56 석목정거장 2:07 - 2:40 논산역 3:14 4:33 천안역 4:53 - 6:35 신중동역 우체국.성요셉병원 정거장 : 오늘 여행은 부여북쪽 백제교와 백마강교 주위의 문화재를 찾아 보는 일정을 잡았다. 이곳에는 부여동매가 있는데 3월 말경에 핀다고 하여 특별히 오늘 서둘러 이곳 여행에 나선다...

    산나드리(2025-04-03 07:22:00)

  • 김육불망비 | 대동법 뜻과 시행 기념비, 광해군 시행과 공인의 역할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경상도, 황해도 등으로 점차 확대되어,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인 조세제도로 자리 잡았습니다. 2. 대동법 시행의 상징, 기념비의 의미...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 기념비의 정식 명칭은 '김육대동균역만세불망비'로, 김육이 대동법을 통해 공납의 불균형과 부역의 불공평을 해소한 업적을...

    urongstory(2025-05-11 16:38:20)

  • 김육불망비 | [겨레의 인물 100선] (35) 김육 : 대동법시행 등 백성의 삶에 치중한 실학자 김육

    성리학은 후기에 이르면서 본래의 정신과는 달리 허례허식에 빠져들었다. 선비나 관료들은 이를 알면서도 관행·타성에 젖어 헤어날 줄 몰랐다. 국가안위나 백성...국가재정의 충실화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실천한 사람이다. ​ 김육(金堉, 1580~1658)은 시마시에 급제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은 아버지 김흥우와...

    들풀에서 줍는 행복(2024-02-01 21:43:00)

  • 김육불망비 | 『오래된 마을 옛 담장을 찾아서Ⅲ』 - ▣익산 함라(益山 咸羅)마을-⑴함라마을가는길⑵함라마을...

    조선 후기까지 인근 8개 읍 세곡을 관장하던 성당창(聖堂倉)이 있던 곳이다. ▲ 성당포구 정경 할 일 없이 갈 길 잃어 포구에 발 묶인 몇 척 배는 강태공들의 ‘멋 동무’가 되고 있다 ​ ​ 허균(許筠)이 쓴 <함열현객사대청중건기>에는 '함열 고을은 외떨어져 호남의 바닷가에 있다'라 돼 있고, 조선의 문신 임종선은 함열...

    송풍수월 (松風水月)(2024-09-17 14:37:00)

  • 김육불망비 | (평택)경기옛길_삼남길제10길_소사원길

    원소사마을입구 □원소사마을 ○소사천○소사벌○삼남대로 조선국영의정김육공대동균역만세불망비​ 대동법 시행 기념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호 김육(1580-1658...농민을 보호하고 국가재정을 확보하려는 대동법 소사_흰 모래밭 ​ 조선후기 양성현 구룡동면 지역ㅡ 1983년 평택군 평택읍ㅡ 1995년 평택시 ​ ○원소사(소사...

    mee2437님의블로그(2025-01-30 19:57:00)

  • 김육불망비 | 경기삼남길 제10길 소사원길 - 바른 정치의 이상이 담긴 대동법의 길!

    조선 후기에 들어와 생겨난 것으로, 소사벌의 모래밭을 뜻하는 '소사(素沙)'에서 비롯되었다. '소사원'이라는 지명은 과거 그 일대에 있던 주막의 이름인 '소초원'에서 유래했으며, 주변 지형인 갈대밭과 모래밭 등의 지리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인덕원, 갈원 등 보통 지명에 원(院)이라 붙은 곳은 여행객들이 휴식을...

    원추리의 길 이야기(2024-05-16 17:11:43)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