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신덕고분군
'예덕리고분군'에서 0.5km
전라남도 기념물 제143호
바로가기
함평 자형정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61
'예덕리고분군'에서 1.4km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85호
바로가기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45-54
'예덕리고분군'에서 1.6km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87호
바로가기
팔열부정각
'예덕리고분군'에서 4.2km
전라남도 기념물 제8호
바로가기
영광 불갑사 대웅전
'예덕리고분군'에서 5.9km
보물 830
바로가기
불갑사 만세루
'예덕리고분군'에서 5.9km
문자 166
바로가기
용월리지석묘군
'예덕리고분군'에서 6.4km
전라남도 기념물 제158호
바로가기
용천사 석등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용천사길 209
'예덕리고분군'에서 7.1k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4호
바로가기
곳은 예덕리 고분군이다. 친절하게 휴지까지 있는 화장실이 있다. 신덕고분은 길게 뻗은 자연구릉의 정상부에 장측이 서쪽으로 15°가량 치우쳐 축조되었다. 고분의 형태는 한쪽이 네모지고 다른 쪽은 등근 전방후원형이다. 규모는 전체길이 51m이 원형부 직경 30m, 방형부 25m, 연결부 폭 19m이며, 높이는 자락에서...
태양의 대지, 숲속의 용(2024-08-14 10:03:00)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축조되었다. 총 16기 가운데 12기가 받침돌이 보이는 남방식 고인돌인데, 상돌이 받침돌에 의해 들려진 상태여서 하부는 대부분 교란되어 있다. 상돌은 60∼80cm의 두께이며 대부분 직사각형이다. 북방식 고인돌의 장벽석과 같은 두꺼운 판석을 가진 것도 1∼5개가 있는데 대부분 유실된...
대한민국 쇼핑 정보(2025-01-15 14:04:09)
조선후기 고지도에서 광주읍성의 북문인 공북문 밖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기가 허한 부분을 메우는 비보 성격으로 장승을 세웠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광 단주리 목장승은 나무로 만든 장승으로 1968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으로 옮겨왔습니다 밤나무 뿌리부분이 머리카락이 된 봉두난발한 장승은 왕방울만 한 눈과 수염...
에스케이리의 세상보기(2024-11-12 23:03:00)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이다. 이 영상에서 대도에 대하여 “이것은 일본의 최상위 계층에서 출토되는 그런 칼과 굉장히 비슷하게 생겨서 일본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유물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라고 소개 하고 있다. 또한 이 무덤의 유물 중에는 백제계통의 것도 있다.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되는 동탁과 은잔...
진흙속의연꽃(2024-06-26 17:54:15)
고려 후기 문신 익재 이제현(1287∼1367)과 이제현의 8대손인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 백사 이항복(1556~1618)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연산군 4년(1498) 이제현의 5대손인 장수 현감 이재인(1415~?)이 현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주산리 백산촌에 집을 짓고 은거하면서 익재의 영정을 모셨고, 1559년 후손 이대정...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2024-12-18 14:19:24)
반면, 후기 무덤이 오늘 보는 것처럼 방형의 웅장한 무덤이 된 이유다. 차이점은 지상 매장과 다장만이 아니다. 크기도 엄청나다. 청동기시대나 삼국시대의 옹관은 1미터를 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그런데 영산강 유역의 일부 옹관은 그 크기가 2미터나 되고, 옹관 두 개를 연결할 경우 3미터가 넘는 경우도 확인되고...
김관동(2024-05-20 02:52:00)
쌍릉〉*, 〈부여 능산리 고분군〉** 의 동·서 고분, 전남 〈함평 예덕리 신덕 고분군〉***이다. 금송은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일본에서만 자생한다...교류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 무왕과 왕비의 능묘일 가능성이 있는 백제 후기 양식의 굴식 돌방무덤, 2개의 봉분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어 '쌍릉'이라...
Rapid Eye Movement(2023-06-09 09:54:00)
예동리(禮洞里)와 신덕리(新德里)에서 한글자씩 따서 지어진 땅이름이다. 조선후기의 마을지명을 기록한 지리지인 『호구총수』의 대야동면(大野洞面, 대야면)의...고분을 주민들은 큰 무덤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예덕리 만가촌 고분군>은 비교적 일찍 전라남도 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81...
향토학(2020-11-03 02:51:00)
전남 함평군 월야면 예덕리 산 176번지에 위치한 함평 예덕리 신덕 고분군은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역사적 논쟁거리라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일본의 통일국가 야마토정권시(4세기~6세기)의 형성된 일본식 고분인 전방 후원형 고분이 함평 예덕리에 백제 고분과 같이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전방...
삼냥이 집사의 떼굴떼굴 남도 여행기(2021-09-26 00:10:00)
위치한 예덕리 일대에는 신덕 고분 이외에도 많은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먼저 남동쪽의 500m의 거리에는 만가촌 고분이 위치하고 있으며, 서북쪽으로는 월계리 석계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신성 고분, 돌뫼 고분, 외치리 고분, 순촌 고분도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신덕 고분은 모두 2기인데 남북으로 배치된 2기...
취월당 유람록(醉月堂 遊覽錄)(2021-11-28 20:19:07)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