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함평 자형정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61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0.5km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85호
바로가기
신덕고분군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1.3km
전라남도 기념물 제143호
바로가기
예덕리고분군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1.6km
전라남도 기념물 제55호
바로가기
영광 불갑사 대웅전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4.5km
보물 830
바로가기
불갑사 만세루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4.5km
문자 166
바로가기
팔열부정각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5.4km
전라남도 기념물 제8호
바로가기
용천사 석등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용천사길 209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5.9k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4호
바로가기
영광 묘장영당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에서 6.2km
문자 249
바로가기
새문화재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 전남 문화재자료 지정예고, 2018.04.19 보림정사의 불상은 양식적으로는 조선후기의 작품으로 상호에서 풍기는 인상이나 착의법 등은 18세기 전반에 활동한 조각승 진열이나 그 계보의 속하는 조각승이 만들었을 것으로 보임. 함평에서는 보기 드문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목조불상...
향토학(2018-06-14 20:49:50)
들어가 보림장양에 들어가니 이듬해 6월 활연대오하여 오도가(悟道歌)를 불렀다. 역사[편집] 창건설화[편집] 창건설화는 두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그중 하나가 수덕도령과 덕숭낭자 이야기다. 수덕이라는 도령이 사냥갔다가 먼발치에서 덕숭낭자를 보고 상사병에 빠진다. 여러번 청혼하였으나 번번히 거절당한다...
★★★나폴리 쇼파★★★(2025-03-06 14:24:00)
22년 5월에 보림정사에 갔었는데 문이 잠겨 있어 목조여래좌상은 못 보았네여. 마을에서 보림정사에 가는 길.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 안내판 문화재청에 문화재 설명이 준비 중이네여.
여행&사진(2022-11-12 21:47:53)
자형정을 보고 나오는 길에 있는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이 있다고 해서 찾아들어갔다.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45-54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계리 766-5) 보림정사의 주소이다. 절 아래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고, 탁 트인 조망이 멋있는 절이었다. 의외로 대웅전과 다른 전각들은 없고 법당, 종무소...
story77616(2022-06-07 10:28:00)
대원정사 heritage.go.kr 金山里 江陵金氏集姓村 (쇠 금, 메 산, 마을 리, 강 강, 언덕 릉, 성 김, 성씨 씨, 모을 집, 성 성, 마을 촌)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에 있는 강릉 김씨 집성촌. 강릉김씨는 통일 신라기에 명주군왕이었던 김주원으로 부터 비롯된다. 금산리에 정착하여 뿌리를 내리고 아직까지 이곳에 살고 있는...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7-11 12:46:00)
제작 방법과 선형을 잡는 법, 배짓기 옛 용어, 도구사용법, 목재 건조법 등 배짓기의 중요한 기술을 잘 터득하고 있죠. 장흥 김응원 각왜비 / 함평 보림정사 목조여래좌상 / 고흥 김붕만 선무원종공신녹권 전라남도 문화자료 - 장흥 김응원 각왜비 장흥 김응원 각왜비는 조선시대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켰던 김응원...
전라남도 공식 블로그(2018-05-06 10:30:00)
없다. 목조여래좌상 용천사에는 법당인 대웅전에 독존불 1구가 전해지고 있다. 6.25때 절이 모두 소실되었다고 하는데 이때 만일 소실되기 직전에 불상을 구해...경우라면 다른 곳에서 옮겨왔을 것이다. 어쨌든 이 불상은 조선시대 후기 불상 가운데서도 비교적 이른 시기, 즉 17~18세기경으로 추정되는 정교한 불상이다...
돌방머리1(2022-12-30 08:07:06)
한다. 월연정에 이어 찾아간 영남루는 밀양강이 유유히 흐르는 아동산(해발88m) 아래에 자리한다. 아동산 은 밀양 읍성을 확인할 수 있고 무봉사의 석조여래 좌상, 영남루 아래에는 장화홍련전의 설화를 탄생시킨 아랑사, 작곡가 박시춘의 옛집이 자리하고 있다. (아랑사는 현재 공사 중) 조선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way & story(2015-01-31 16:12:00)
석가여래괘불탱 보물 1350호 경남 양산시 조선 영조 1748 통도사 괘불탱 보물 1351호 경남 양산시 조선 정조 1749 통도사 화엄탱 보물 1352호 경남 양산시 조선...소조삼불좌상 보물 1360호 충북 보은군 조선 인조 1758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보물 1361호 충북 보은군 조선 효종 1759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보물...
자연속의 쉼터(2006-04-07 15:20:51)
제석정사 등 12개의 사찰 이름이 전하지만 수덕사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으며, 수덕사 경내에서 백제시대의 와당과 와편 등이 발견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스님으로 수덕사와 수덕사 인근의 천장암, 부석사, 개심사 등지에서 주로 보림 하며 수월, 혜월, 만공, 한암 스님 등의 제자를 길러냈다. 이 가운데 수월...
새로쓰는 사랑이야기(2023-04-28 23:2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