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수입리 지석묘
'동음사'에서 4.1km
향토유적 33
바로가기
운담영당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동로 1240
'동음사'에서 5.1km
향토유적 46
바로가기
강영천 효자문
'동음사'에서 6.3km
향토문화재 제5호
바로가기
흥룡사 청암부도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포화로 160
'동음사'에서 7.6km
향토유적 35
바로가기
적목리 공동생활유적
'동음사'에서 7.7km
향토문화재 제13호
바로가기
김흥근 선생 묘
'동음사'에서 7.8km
향토유적 31
바로가기
태봉산성지
'동음사'에서 10km
향토유적 29
바로가기
양사언 선생 묘
'동음사'에서 10.1km
향토유적 32
바로가기
조선 후기 가마터. 옛날부터 기와를 굽던 곳이라고 하여 도평리 가마터가 있는 곳을 ‘점말[점촌(店村)·(粘村)]’이라고 부른다. 점말의 ‘점(粘)’은 기와를 굽는 원료가 되는 찰흙을 의미한다. 최근에 도로가 확장·포장되면서 완형(完形)으로 남아 있던 가마터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지금은 가마의 윗부분과 흙을...
남대일 멍상閑(2024-08-10 16:59:00)
총회 (동음사 앞 단체사진) 김성대묘비 연대 유형/재질 크기 소재지 서체 찬자/서자 /각자 1727년(영조3년) 비문 / 돌 높이 206cm, 너비 74cm, 두께 46cm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 해서(楷書) 좌의정,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 김창집 / 미상 해석문 김성대묘비 유명조선국 증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백촌과 함께하는 한시여행(2011-12-02 21:43:16)
도로 오른편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동음사 건물이 있었다. 동음사 사당의 주인인 김성대선생의 사적비였다. 동음사(洞陰祠) : 포천시향토문화재 제34호 안산 김...大夫)로 추증되었다. 김성발과 김성옥은 김성대의 동생이다. 김평묵은 조선 후기의 이름난 학자이다. -두산백과- 이곳도 문이 잠겨 밖에서 한번 돌아 보는...
산나드리(2023-03-07 07:28:00)
조선 후기 신광수(申光洙)의 작품으로 알려진 다음과 같은 작품도 있다. 네 나이 이제 열 아홉인데 벌써 비파를 갖고 다루네. 빠를젠 빠르고 높고도 낮게 知音에게 알리기 어렵지 않네. 爾年十九齡 (이년십구령) 乃操持瑟瑟 (내조지슬슬) 速速許高低 (속속허고저) 勿難報知音 (물난보지음) 문면 그대로 읽으면 열 아홉...
자연사랑, 시집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의 것이다 출간(2024-04-01 21:40:00)
동음사(향토유적 34호) 동음사는 포천군 이동면 연곡리에 있는 사당으로, 안산김씨 (安山金氏) 선조 촌로(村老) 김성대(金聲大)선생과 아우 성재(省齋) 김성발...추증되고 영조 때에는 대사헌에 재차 추증되었으며, 김평묵 선생은 조선후기 대학자로 높이 추앙받는 인물이다. 동음사는 일제에 의해 화재로 일부 소실...
새로쓰는 사랑이야기(2016-01-12 17:46:00)
★ 동음사 포천 동음사는 안산 김씨의 선조인 김성대 선생과 그의 동생 김성발 김성옥,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김평묵 등 네 명을 봉향한 사당입니다. 1833년에 건립된 동음사는 1907년 일본인들에 의해 반소되어 1914년에 보수하였으나 1950년 6.25전쟁 때 전소되었습니다. 이후 1961년 포천 유림과 후손들의 성금...
DMZ의 모든 것!!(2019-12-07 01:00:00)
이동면 동음사에는 김성대, 김성재, 김성발, 김성옥(金聲玉) 할아버지를 배향하고 있으며 전국 에 도남재, 만세재, 경모재, 귀후각, 송양재, 칠은정, 영모 당 등 재실이 있습니다. 불천위에는 나라에서 인정한 국불천위(國不遷位)와 유림에서 발의하여 정한 향불천위(=유림불천위), 문중에서 모셔야 한다고 뜻이 모아진...
안산김씨(2010-04-16 21:56:00)
조선 후기 인물로는 김수항(金壽恒)과 그의 세 아들, 곧 김창집(金昌集),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등을 들 수 있다. 세 형제 모두 문장과 시에 탁월하였다. 김창협은 아버지가 기사환국으로 죽음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영평에 숨어 살았고, 동생 김창흡 역시 은거하였다. 특히 김창흡은 원래 벼슬에 뜻이 없어...
박연서원(2019-12-26 09:54:10)
연곡리에 동음사(洞陰祠), 도평리에 흥룡사의 석조부도와 수복기념비등이 있다. 예로부터 산자수려함을 자랑하여 왔던 이동면은 조선시대 영평현에 소속되어 동면(東面)이라 불리던 곳으로 1895년(고종32) 영평현이 포천군에 병합되면서 동면을 둘로 나누어 포천군 이동면이 되었다. 1896년(고종33) 영평이 포천군에서...
산업단지 경제연구소/Industry Innovation Partners(2008-08-20 09:22:00)
복원 추진우원회를 구성하고 모금, 경기도 및 포천군의 보조금으로 1999년 10월 29일 준공하면서 안양선생을 추가 배향하였다. 김평묵(1819-1891)선생은 조선후기의 대학자로 높이 추앙을 받고 있다. 포천 동음사 외에 경현단, 보산서원, 미원서원에도 배향되어 있다 . 일동면 블로그에서... 김평묵(金平默)의 자는 아장...
맛있는 여행.. 느낌있는 인생..(2008-12-04 15:0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