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담영당 지도 이미지

운담영당 5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운담영당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46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사당
소재지도로명주소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화동로 1240
지정일자
2006-04-05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운담영당관리위원회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주자와 송시열, 이항로, 김평목 등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일제강점기의 사당
관리기관전화번호
031-538-2106
관리기관명
양윤택
데이터기준일자
2022-10-31
제공기관코드
5,60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포천시

블로그 리뷰

  • 운담영당 | 포천유림 김평묵과 관련된 유적- 포천 운담영당

    ★ 운담영당 포천시 일동면에 있는 운담영당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인 김평묵 선생과 관련된 유적으로 포천 유림과 조선 후기의 성리학의 학파인 화서학파와 관련된 유적입니다. 김평묵 선생 사후 1915년 포천유림들이 김평묵 선생의 높은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운담영당을 세웠는데 이 영당에는 김평묵 선생을 비롯...

    DMZ의 모든 것!!(2018-12-01 02:49:00)

  • 운담영당 | 운담영당 - 경기도 포천 일동면 여행

    이항로, 김평목 등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일제강점기의 사당이다. ​ 운담영당은 뜻 있는 지역유지 인사들에 의하여 1915년 음력 10월에 건립되었다. ​ 주자...준공되면서 안향 선생을 추가 배향하였다. 김평묵(1819~1891) 선생은 조선후기의 대학자로 높이 추앙을 받고 있다. ​ 포천의 동음사 외에 경현단, 보산서원...

    새로쓰는 사랑이야기(2018-04-18 14:15:00)

  • 운담영당 | 20.9.19 백운계곡 흥룡사-동화사-동음사-운담영당-김흥근묘-만세교리태봉

    향수를 부르고 있었다. 운담초등학교 : 연곡4리 운담초등학교 옆에 운담영당 표시판이 있고 바로 그 앞에 영당 건물이 보인다. 운담영당(雲潭影堂) : 포천시향토...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주자학의 대가 송시열(1607~1689),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 이항로(1792~1868), 주자학을 집대성한 중국 송나라의 대유...

    산나드리(2023-03-07 07:28:00)

  • 운담영당 | 2007년 7월 문화관광해설사 보수교육.. 일동면 운담영당에서

    운담영당은 뜻있는 지역유지 인사들에 의하여 1915년 음력 10월에 건립되었다. 주자, 송시열, 이항로, 김평묵 등 네분의 영정을 봉안하고 향사를 모시어 오다가...준공하면서 안양선생을 추가 배향하였다. 김평묵(1819-1891)선생은 조선후기의 대학자로 높이 추앙을 받고 있다. 포천 동음사 외에 경현단, 보산서원, 미원...

    맛있는 여행.. 느낌있는 인생..(2008-12-04 15:06:00)

  • 운담영당 | 108.화천명소 탐방기2(곡운구곡)

    조선 후기 성리학자인 김수증의 자취가 서린 곳으로, 강원도기념물 제63호이기도 하다. 김수증이 관직을 버리고 은둔생활을 하며 후학을 위해 힘쓴 곳도 곡운구곡이다. 곡운구곡의 명칭은 바로 김수증이 지었다. 김수증이 관직을 버리고 화천에서 은둔생활 중에 용담계곡의 절경 9곳을 찾아내어 곡운구곡이라 명명한 것...

    먼 곳에의 동경(2019-08-26 03:02:42)

  • 운담영당 | 대승폭포 (大勝瀑布)를 찾아서

    경향이 있었다. 그가 죽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숙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고,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울진의 신계사(新溪祠), 강릉의 호해정영당(湖海亭影堂) 등에 제향되었다. 이인상 (李麟祥)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이다. 자는 원령(元靈), 호는 능호관(凌壺觀) · 보산자(寶山子) · 보산인(寶山人...

    도암정 마을(2020-09-10 15:20:00)

  • 운담영당 | 안빈낙도(安貧樂道)

    조선 후기 인물로는 김수항(金壽恒)과 그의 세 아들, 곧 김창집(金昌集),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등을 들 수 있다. 세 형제 모두 문장과 시에 탁월하였다. 김창협은 아버지가 기사환국으로 죽음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영평에 숨어 살았고, 동생 김창흡 역시 은거하였다. 특히 김창흡은 원래 벼슬에 뜻이 없어...

    박연서원(2019-12-26 09:54:10)

  • 운담영당 | 南道春風30- 지도(智島)는 어떻게 ‘지혜로운 섬’이 됐을까? 조선 유림(儒林)의 마지막 성지, 신안...

    조선 후기 대표적인 논쟁으로 꼽힌다. 그 중심에는 유중교가 있었다. 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 1832~1893)는 1886년 이항로의 심설(心說)에 대해 동문이자 스승처럼 따랐던 김평묵에게 ‘논조보화서선생심설(論調補華西先生心說)’을 보냄으로써 논쟁에 불을 지핀다. 유중교는 심(心)을 기(氣)로 규정하고 이항로 및...

    남체바자르(2019-02-02 20:5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