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장승(돌미륵) 지도 이미지

석장승(돌미륵) 5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석장승(돌미륵)
문화유적지정번호
당진시 향토유적 제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장승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운정리 568
지정일자
1997-06-20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당진시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돌미륵 건립을 향리인 호장이 주도하고 사주, 화주 등이 참여하였음이 확인되어 신평현의 향리와 백성들이 성의 방어와 마을의 편안을 위해서 세운 것임을 알 수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41-350-3580
관리기관명
충청남도 당진시청 문화관광과
데이터기준일자
2022-12-01
제공기관코드
5,68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당진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석장승(돌미륵)'에서 6530.56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SG아름다운골프앤리조트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56-7

'석장승(돌미륵)'에서 10.15km

바로가기

하센 당진호텔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반촌리 802-3

'석장승(돌미륵)'에서 10.7km

바로가기

(주)호텔 로씨오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 106-7

'석장승(돌미륵)'에서 11.11km

바로가기

이끌림클래식호텔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만호리 573-10

'석장승(돌미륵)'에서 11.64km

바로가기

(주)탐라콘도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기곡리 261-17

'석장승(돌미륵)'에서 14.01km

바로가기

평택로얄관광호텔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현화리 658-2

'석장승(돌미륵)'에서 15.64km

바로가기

(주)온양관광호텔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 242-10번지

'석장승(돌미륵)'에서 19.16km

바로가기

온양제일호텔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 228-1

'석장승(돌미륵)'에서 19.21km

바로가기

로얄관광호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137-1

'석장승(돌미륵)'에서 22.52km

바로가기

가야관광호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63-1

'석장승(돌미륵)'에서 24.29km

바로가기

(주) 호반호텔앤리조트 스플라스 리솜Ⅰ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동리 362 스플라스 리솜Ⅰ

'석장승(돌미륵)'에서 24.55km

바로가기

(주)호반호텔앤리조트 스플라스 리솜Ⅱ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동리 362 스플라스 리솜Ⅱ

'석장승(돌미륵)'에서 24.55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석장승(돌미륵) | [서울둘레길]11(관악산), 12(호암산) 코스 2025.1.18

    고려 후기부터 조선시대에는 승[栍] · 장승[長丞 · 長承 · 長栍] · 장생우(長栍偶) · 후(堠) · 장성(長性 · 長城) · 장선주(長先柱) · 장선(長先...막이 · 수살이 · 수살목, 경기도에서는 장승, 평안도와 함경도에서는 댱승 · 돌미륵, 제주도에서는 돌하르방 · 우석목(偶石木) · 옹중석(翁仲石) · 거오기...

    언젠간! 히말라야를 다시 가기를(2025-02-22 18:19:00)

  • 석장승(돌미륵) | 돌하르방

    미륵, 돌미륵이라고도 한다. 제주도에서 장승을 대신해 세운 마을의 수호신으로 남아 있는 향토자료를 보면 주로 성문의 입구나 길의 입구에 세웠다. 정확한 건립 연대는 불명이다. 오래된 돌하르방은 버섯이나 벙거지 모양의 모자를 쓰고 있다. 제주도에 많은 현무암으로 제작 하여 전체적으로 구멍이 많이 뚫려 있으며...

    코러스칸투 행성(2024-12-28 21:08:00)

  • 석장승(돌미륵) | 돌하르방의 비밀|1부

    石), 돌미륵 등으로 불렀다고 한다. 흔히 육지의 장승을 대신해서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향토자료에 따르면 주로 성문이나 길의 입구에 세워두었다고 한다. 아무튼 돌하르방은 명실상부한 제주도의 상징이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① 제주시의 돌하르방, ② 서귀포시 대정읍의 돌하르방, ③...

    생명의 담자리꽃(2023-11-14 21:42:00)

  • 석장승(돌미륵) | 당진 신평의 돌미륵과 돌기둥을 찾아서

    사람들이 ‘석장승’ 또는 ‘망부석’이라 부르고 있는 이 돌미륵은 당진시 향토유적 제8호입니다. 옛날에는 보호각을 세워서 매년 용날에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지금은 눈, 비, 바람, 햇빛 한 점 가리지 못한 채 서 있습니다. 그러나 돌미륵은 어쩌면 보호각 속에 있는 것보다 들판에 서서 사람들을 바라보는 것이 더...

    당진시 공식블로그(2017-10-26 10:34:00)

  • 석장승(돌미륵) | 상주 남장사 석장승

    고려 후기와 조선 시대에는 승(), 장승(長, 長丞, 長承), 장승우(長偶), 후(候), 장성(長性, 長城), 장선주(長先柱), 장선(長先, 長仙) 등의 명칭이 보인다...이름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를테면 장생, 장신, 벅수(법수), 벅시(법시), 돌미륵, 당산할아버지, 돌하루방 등등이 있는데, 이런 이름에서도 토속신앙과 불교...

    mookhyang(2007-01-17 23:15:00)

  • 석장승(돌미륵) | 남원 - 주천 석장승

    고려 후기부터 조선시대에는 생(栍)·장승〔長丞·長承·張丞〕·장생우(長栍偶)·후(堠)·장성(長性·長城)·장선주(長先柱)·장선(長先·長仙)·쟝승·쟝성...막이·수살이·수살목, 경기도에서는 장승, 평안도와 함경도에서는 당승·돌미륵, 제주도에서는 돌하루방·우석목(偶石木)·옹중석(翁仲石)·거오기·거액 등...

    바람 속 갈팡질팡(2017-04-03 21:01:00)

  • 석장승(돌미륵) | 장승長丞에 관한 이야기 : 마을과 절을 지키는 수호신...

    목, 돌미륵, 돌하루방 등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장승에는 돌로 만든 돌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다. 윗부분에 신장상이나 귀면의 형상을 그리거나 조각하고, 하부에는 신장명이나 이정을 새긴다. 대개 나무나 돌로 만들며 남녀를 상징하는 두기가 마주보거나 나란히 서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지방은...

    바람꽃과 솔나리(2013-08-29 07:36:00)

  • 석장승(돌미륵) | 화순 대리 석불입상(和順 大里石佛立像)

    후기 석장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다. 옷 주름은 매우 형식화 되었으며 오른손은 가슴 앞에 대고 왼손은 배 아래로 내려 연꽃을 들고 있다. 이 석불의 도상적 특징을 보면 보살상이다. 두 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관세음보살로 볼 수도 있겠으나 보관이 없어 분명치 않다. 머리 윗부분에 육계를 생략...

    여행하며 역사도 만나고 맛집도 찾는...(2016-11-22 00:00:00)

  • 석장승(돌미륵) | 화순 벽나리 민불(대리석불입상大里石佛立像).전남 화순

    민불(돌미륵)의 규모는 높이4m에 폭이85cm,두께가 45cm 가량된다 이만한 것을 세우자면 상당한 체력과 인력이 필요했을 터이다 그것을 감당할 만큼 절실한 요구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민불이 선 곳과, 민불에서 100m쯤 떨어진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 있는 곳에서 예전에는 동제를 지냈다고 한다 지금은 철도를 사이...

    바람처럼 떠나다(2008-03-05 10:27:17)

  • 석장승(돌미륵) | 세중옛돌박물관(1)

    수살', '돌미륵', '신장'이라고도 불려졌다. 망주석(望柱石) '망주석'이란 무덤을 꾸미기 위하여 무덤 앞의 양쪽에 하나씩 세우는 돌로 만든 기둥을 말한다. 이 망주석이 어느 시기부터 무덤에 사용되었는지 확실치 않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망주석 가운데 가장 오랜된 것은 신라와 조선시대의 능원(陵園)은 물론...

    일탈 그리고 자유(2011-04-14 16:36: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