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장 홍춘수 지도 이미지

한지장 홍춘수 3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한지장 홍춘수
문화유적지정번호
중요무형문화제117호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형태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6길 16
소재지지번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 171-1
지정일자
2010-02-1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홍춘수
향토문화유적소개
한지장 보유자 홍춘수씨는 전북 완주군에서 태어나 부친이 운영하던 종이 공장에서 일을 배우면서 12살 때 처음 종이 뜨는 일을 접했다고 한다. 생업으로 종이를 만들어 내다 팔던 부친의 어깨너머로 자연스럽게 종이 뜨는 법을 접하여 60년이상 종사하고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3-640-2315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1-25
제공기관코드
4,761,000
제공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블로그 리뷰

  • 한지장 홍춘수 | 전주 한지박물관

    조선 후기 민간사업자로 바꾸어 지면서 종이의 질이 떨어져 제지술이 쇠퇴하기 시작하고 조선말 서양의 양지가 들어오면서 1882년 조지서 기능이 떨어지고 1884년 양지 초지기가 처음으로 들어와 양지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한지는 창호지, 장판지 등으로 겨우 맥을 이어가다, 한지 산업은 광복 후 낮은 생산성과 생활...

    산내음 김종호(2025-04-13 15:14:08)

  • 한지장 홍춘수 | CPN문화재TV - 문화재청, ‘한지장’ 보유자로 김삼식.신현세.안치용 씨 3명 인정

    조선 후기에 활동한 문신(文臣) 신위(申緯, 1769~1847)가 남긴 ‘종이는 천 년을 가고 비단은 오백 년을 간다(紙一千年 絹五百)’이라는 말에서 보듯이, 한지는...년을 견디는 한지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유물(국보)들로 손꼽힌다. ​ 이번에 ‘한지장’ 보유자로 인정된 김삼식 씨는 현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문경한지...

    CPN문화유산(2021-07-28 09:42:00)

  • 한지장 홍춘수 | #6. (후기) 2018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 【1일차】-스탬프 투어

    무형문화재 제 101호 목조각장 국가무형문화제 제 96호 옹기장 국가 무형문화재 제 55호 소목장 국가무형문화재 제 67호 탕건장 김혜정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 홍춘수 매듭장, 목조각장, 유기장, 옹기장, 소목장, 탕건장, 한지장, 석장, 침선장, 금속활자장, 자개장... 옛 방식 그대로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

    -ing(2018-09-15 03:57:00)

  • 한지장 홍춘수 | 전북전통의 손이 빚은 공예의 숨결전

    조선 후기 전주를 중심으로 한 조선 공예의 중심지로 널리 알려졌던 전북에서 전통공예를 보존하고 전승하고자 하는 의미로 공예에 대하여 새롭게 조명하는 전시...혼줄’과 임실 청웅에서 전통한지를 제작하는 중요무형문화재 한지장 홍춘수 선생의 전통한지 만들기 시연회를 통해 화려하게 문을 연 이번 전시는 국가...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2010-07-23 10:31:54)

  • 한지장 홍춘수 | 2020 KCDF 자체기획전 <일일유람:공예의 터전을 찾아서 One Day Ticket for Korean Crafts>(10.14~10.20)

    썼고 후기로 오면서는 양반과 서민들도 혼수품으로 널리 사용했다. 전통부터 현대까지 삶에 풍류를 더하는 채상의 세계를 들여다본다. ​ 참여작가 서신정 (국가...말리고, 벗기고, 다시 삶고, 두들기고, 고르게 섞고, 뜨고, 말리는 한지장의 손길을 거쳐 탄생한다. 그래서 백 번의 손이 가는 종이라 하여 옛사람들은 한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2020-09-04 11:46:00)

  • 한지장 홍춘수 | KCDF 일일유람 <공예의 터전을 찾아서> / 세루리안 인사

    삶고, 말리고, 벗기고, 다시 삶고, 두들기고, 고르게 섞고, 뜨고, 말리는 한지장의 손길을 거쳐 탄생한다. 그래서 백 번의 손이가는 종이라 하여 옛사람들은...활용되는 일상의 작품으로 탄생한 한지의 변신을 지켜본다. 참여작가 홍춘수 / 정대훈 / 권중모 전라도 <채상> 전라남도 담양은 영산강 상류에 있어 여러...

    별걸다그리는여자(2020-10-20 01:19:00)

  • 한지장 홍춘수 | 한지 ( 韓紙, 문화어: 조선종이, Korean paper 또는 hanji )

    조선 후기의 문신 신위가 남긴 ‘종이는 천 년을 가고 비단은 오백 년을 간다 ( 紙一千年 絹五百 )’이라는 말에서 보듯이, 한지는 그 제작방법의 특성상 보존성...복사지, 화선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김삼식 한지장 보유자 문화재청 ​ 한지장인 한지장 ( 韓紙匠 )은 2005년에 국가무형문화재 117호로 지정되었다...

    stoppoint님의 블로그(2023-02-24 15:28:00)

  • 한지장 홍춘수 | <월간진로적성>“1백년도 못사는 인간이 1천년 사는 한지로 다시 태어납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계속되는 외침과 삼정의 문란 등은 제지업 기반의 붕괴를 초래했으며 국영 제지산업 기반이 붕괴되고 조선시대 말까지 국가 수요의 종이 공급...배접지, 소지 등이 겨우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100년 이어온 종이 가문, 한지장 장용훈 선생 “좋은 종이는 사람보다 오래 살지만, 좋은 사람의 손끝에서...

    월간 진로적성(2013-11-11 14:18:00)

  • 한지장 홍춘수 | <2014 여름, 天工을 만나다> 중요무형문화재 합동공개행사 '체험행사' **마감**

    김정옥 한지장 홍춘수 7.26(토) ~ 7.28(월) 금속활자 임인호 윤도장 김종대 갓일 박창영 망건장 강전향 탕건장 김혜정 궁시장 박호준 두석장 박문열 완초장 이상재 화혜장 황해봉 - 옹기장 김일만 ※ 행사기간 동안 자유롭게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4. 체험종목 및 일정 날짜 시간 인원 2층 아트리움 추천대상 7.23.(수...

    국가유산 즐거움이 되다, 국가유산진흥원(2014-07-07 14:49:00)

  • 한지장 홍춘수 | [한지 공예]

    조선후기에 이르러 계속되는 외침과 삼정의 문란 등은 제지업 기반의 붕괴를 초래했으며 국영 제지산업 기반이 붕괴되고 조선시대 말까지 국가 수요의 종이 공급이 대부분 사찰제지업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말엽 일본을 통해 서양식 기계로 제조한 종이가 수입되고 그간의 전통적인 종이를 “한지”라 하여...

    리노 하우스 디자인(2018-01-28 19:0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