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태 지영록 지도 이미지

이익태 지영록 2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이익태 지영록
문화유적지정번호
2,002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보물
소재지지번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261번지(국립제주박물관)
지정일자
2018-10-30
소유주체구분
국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이익태 지영록(李益泰知瀛錄)』은 제주목사를 역임한 이익태(1633~1704)가 1694년(숙종 20)년 7월 제주목사로 부임한 이래 1696년(숙종 22) 9월까지 재임기간 중의 업무와 행적 제주 관련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4-710-6702
관리기관명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데이터기준일자
2024-07-18
제공기관코드
6,500,000
제공기관명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리뷰

  • 이익태 지영록 | 제주여행 제주 3대폭포 서귀포시 정방폭포 소정방폭포

    한다. 이익태의 《지영록(知瀛錄)》(1695)에는 '경노연(驚鷺淵)'이라 하였다. ​ 천지연폭포·천제연폭포와 더불어 제주도 3대 폭포 중의 하나이며, 제주 영주십이경(瀛州十二景) 중 하나로 일컬어진다. 폭포 높이 23m, 너비 10m 정도 되고 보호면적은 10,529㎡이다. 폭포 양쪽에 주상절리가 잘 발달한 수직 암벽이 발달...

    인생도 육아도 즐기기~♪(2025-05-06 13:07:00)

  • 이익태 지영록 | [제주 역사문화 기행] 탐라순력도를 따라서 1

    목사 이익태(李益泰)는 『탐라십경도(耽羅十景圖)』(현재 전하지 않음, 19세기의 사본이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와 지리지 『지영록(知瀛錄)』을 편찬했다. 이형상 역시 제주 관련 기록을 다방면으로 남겼다. 이형상(1653∼1733)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효령대군의 10세손이다. 자는 중옥(仲玉)이고, 호는 병와(甁窩...

    믿음공인중개사사무소(2025-04-01 14:58:00)

  • 이익태 지영록 | 🎤떠나요 제주도~🎶 국가유산 있는 곳으로!

    상설전시실이 있거든요! 이곳에는 이익태 지영록과 동여비고가 있어요. 이익태 지영록 Ⓒ국가유산청 ​ ​ 이익태 지영록은 이익태가 1694년부터 1696년까지 제주...없는 베트남 관련 기록이에요! 동여비고 Ⓒ국가유산청 ​ ​ 동여비고는 조선 후기에 전국을 그린 지도책이에요. 역사지도, 도성도, 도별도, 군현도 등 32...

    국가유산청 공식 블로그(2025-03-01 08:30:00)

  • 이익태 지영록 | (보물 제2002호) 이익태 지영록

    (보물 제2002호) 이익태 지영록 ​ ​ ​ 정의 조선후기 제주목사 이익태(李益泰)의 시·제문·기행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개설 보물 제2002호. 1694년(숙종 20) 7월 제주목사에 부임한 이익태가 1696년(숙종 22) 9월까지 재임기간 중 업무와 제주 관련 역사, 부임지의 임기를 마치고 제주도를 떠나기까지의 행적을 기록한...

    산이 나를 오라하네(2020-08-25 23:00:00)

  • 이익태 지영록 | 20250227 조선시대 공도정책과 제주도민 출륙금지령(1629-1850)

    조선 후기까지 제주도는 가혹한 공납, 기근, 노략질 등으로 육지인들에게는 死地였고 섬사람들에게는 육지가 천당이었다. 육지로의 이탈이 급증한 1629년 시행된 출륙금지령은 무려 220년간이나 유지됐는데 거주민들이 떠나기를 갈망했던 섬 ​ 제주도민에 대한 출륙금지령 조선시대 제주도는 말의 생산지이자 전복, 귤 등...

    숲해설과 순례(2025-02-27 09:12:00)

  • 이익태 지영록 | 하멜 표류기와 지영록

    조선후기 네덜란드인 하멜이 조선에서의 억류 생활상을 기록한 표류기입니다¹. 1653년에 심한 풍랑으로 난파된 네덜란드 무역선 선원 64명 중 36명이 제주에 상륙했다가 13년 28일 동안 억류되었습니다¹. 탈출에 성공한 귀국선 서기 하멜이 억류생활 동안 보고 듣고 느낀 사실을 기록하였습니다¹. 이 기록은 조선의...

    진리가 춤추는 세상~ 홍익화가 꽃피는 세상~(2023-12-13 23:56:00)

  • 이익태 지영록 | 제주 정방폭포 서귀포 가볼만한곳 입장시간 정보 - 방문후기

    유일의 해안폭포이다. 여름에 멀리서 바라보면 더욱 멋지다고 하여 '정방하폭(正房夏瀑)'이라고도 하며 혹은 '정방관폭(正房觀瀑)'이라고도 한다. 이익태의 《지영록(知瀛錄)》(1695)에는 '경노연(驚鷺淵)'이라 하였다.​ ​ ​ 주차장은 대형주차장으로 주차걱정은 따로 안하셔도 될것같아요!​ ​ ​ 매표소 이곳에서 매표 하시고...

    Blue Travel Life(2024-08-07 15:12:00)

  • 이익태 지영록 | 서울 여행 어린이와 함께 가면 좋은 곳 국립한글박물관 관람 후기 : 한글의 아름다움을 만나는 여정

    들어갑니다. ​ ​ "지영록" 이익태 1694-1696년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보물 ​ ​ "제주풍토기" "규창집" 권 5 이건 1712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 "병담범주" 탐라순력도" 이형상 제작, 김남길 그림 1702년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소장 보물 ​ <병담범주>는 뱃놀이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지금의 용두암...

    별나라 covra의 지구별 여행 이야기(2024-05-30 16:46:00)

  • 이익태 지영록 | 제주도 최초의 인문지리서, ‘이익태 지영록(李益泰 知瀛錄)’

    책이다. 지영록은 17세기 제주 역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록으로 제주목사로 부임하기까지의 과정, 재임시의 업무, 제주 역사자료 등을 주 내용으로 한다...시기 서양인, 중국인, 일본인 등의 외국인 표류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이익태(李益泰)의 교지(敎旨) 1694년(숙종 20) 이익태가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임명될...

    즐거움을 찾아서~~(2018-11-09 06:32:00)

  • 이익태 지영록 | 제주도를 구한 여인 김만덕

    지낸 이익태는 『지영록』에 “(관리들이) 총애하는 것을 믿고 건방져서 누구도 감히 건드리지 못하며 보통 일도 기녀에게 뇌물을 주지 않으면 안된다”고 기록하였으니 그에겐 엄청난 결단이었습니다. 그리고 김만덕이 눈길을 돌린 곳은 상업이었습니다. 제주와 육지를 오가며 장사를 했던 부친에 대한 기억과 관기로...

    sea213(2024-03-19 09:22:47)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