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장한철의 표해록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km
27
바로가기
탐라순력도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1km
652-6
바로가기
안중근의사유묵(天與不受反受其殃耳)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1km
569-24
바로가기
최익현 초상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1km
1510
바로가기
동여비고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1km
1596
바로가기
이익태 지영록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1km
2002
바로가기
보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4km
18
바로가기
제주 사라봉 일제동굴진지
'제주속오군적부'에서 0.5km
306
바로가기
제주속오군적부(濟州束伍軍籍簿)가 발견되기도 했다. 순력도의 1면은 제주 지도 ‘한라장촉’이다. 촌(村)·리(里)의 명칭, 목장, 봉수처, 연대(煙臺), 오름, 포구 등을 표기하였고, 주변 지역과의 방향과 거리 등을 표기하고 있다. 2면의 ‘승보시사(陞補試士)’는 윤6월 17일의 승보시 장면, 3면의 ‘공마봉진(貢馬...
믿음공인중개사사무소(2025-04-01 14:58:00)
여행 후기를 써 내려갈 작정이다. 그리고 꼭 실행할 계획이다. 혹시 자녀와 제주 여행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도 함께 담았습니다. 탐라순력도라? 제주 여행 중 처음 만났다. 대체 이게 뭘까? 여행 중 만난 사진 석 장이 인연이 되어 사흘간 다시 가슴 설렜다. 여행이란 참 묘하다. 지금 내겐...
霞霞(작고 아름다운 노을)(2025-03-19 13:55:00)
제주속오군적부·목장신정절목을 비롯한 제주문화재자료 10점 등이 있습니다. 거제도 사진출처 - 두피디아 경상남도 거제시에 속하며, 면적은 382.2㎢, 해안선길이는 443.8㎞, 최고점은 585m인 섬입니다. 10개의 유인도와 63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다음으로 가장 큰 섬으로 알려져...
KM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식 블로그 "해온누리"(2024-03-18 08:20:00)
위치를 자세히 기록하였습니다. 탐라지도병서 1709년 그림 제주속오군적부 1694년 이익태가 제주목사로 임명될 때 받은 교지입니다. 제주목에는 수령(정 3품)이...제주목, 정의현, 대정현에 향교를 만들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향교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사학으로 귤림서원, 삼천서당, 우학당, 좌학당 등이...
랄랄라 라오니스(2022-02-26 07:07:46)
속오군적부. 1620년~1650년 사이 제주도 속오군의 소속과 신원을 기록한 명부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군적부로 탐라순력도를 보수하면서 발견하였다...소지는 김광숙이 억울하게 말을 빼앗긴 것에 대해 제주목사에게 올린 청원서이다. 이에 제주목사가 30년이나 된 일을 다시 거론하지 말라고 판결을 내렸다...
chiwoo1206님의블로그(2018-04-01 03:57:00)
제주속오군적부(주선 1620~1650년, 제주문화재자료 제5호) 호적대장(조선 17세기 후반)(제주도에서 17세기 후반에 작성된 호적대장의 일부로 보인다) 보물 제2002호 이익태 지영록 보물 제2002호 이익태 지영록 이익태 초상(조선 17세기 후반) 이익태 초상(조선 17세기 후반) 이익태 초상(조선 17세기 후반...
산이 나를 오라하네(2020-08-25 22:49:00)
시대 후기에서 남북국시대(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며 "탐라"라는 이름이 대내외적으로 알려지는 시기로 "삼국사기"에는 탐라가 백제, 통일신라와 교류하고 왜와...양상을 보이면서 한반도에서 수입된 회색토기를 함께 사용하였는데 제주시 용담동 제사 유적과 용천동굴에서 확인되며 이후 탐라국은 주변국에 조공을...
cds9494님의 블로그(2019-01-07 14:36:00)
특기와 직역·성명·나이·부친의 이름, 거주지 순으로 기재하였고, <제주속오군적부>와 달리 신체적 특징(신장과 수염·흉터의 유무)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84명, 파수 44명, 교직생 65명으로 총 1,843명이다. <대정군 군병도안>은 조선 후기 대정군(大靜郡) 군병 편성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재봉틀의 국어방(2015-04-04 18:30:00)
거의 없어졌고 그 군사적 역할 또한 대단히 미미해졌다.103) 이런 점에서『제주속오군적부』의 기록은 포수의 군사적 역량이 증대하고 살수 및 사수의 역할이...또한 거의 없어졌음을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노영구,「조선후기 의궤 반차도에 나타난 군사 배치 및 군사 깃발 이해의 방향」, 한국학중앙연구원...
타브가치의 역사 공부(2015-01-21 22:12:00)
속오군적부의 1천700여명을 훨씬 능가하는 것으로 군적 자료 중 가장 방대한 것이다. 군적에 오른 인물 중 얼굴 특징이 기록된 사람은 2천260명. 이 중 마맛자국이 있다고 보고된 사람은 전체 17.7%에 이르는 402명이었다. 이 군적 자료를 분석 중인 고문서 전공 김성갑 토지박물관 주임은 "마맛자국의 흔적을 심한 정도...
日新又日新(2008-03-12 22:01: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