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장독대 왕순례 묘 차도인 숭의전로에는 벚꽃이 화사하게 피어 있군요. 372번과 375번 지방도가 만나는 로타리에서 이정표를 보니 오늘 코스의 거리가 18.4km로 표기(가야할 군남홍수조절지 16.7km, 지아온 숭의전 1.7km)되어 있어 두루누비에 기록된 16.2km와는 2km 이상 차이가 납니다. 여기서 임진강 주상절리와 당포...
펜펜의 나홀로 여정(2025-04-22 06:53:46)
여행 후기에 넣으려다 아까워서 별도로 소개합니다. 서울에서 당일치기로 다녀오기 좋은 역사 관광지이기도 합니다. 해설사가 계시니, 어린이들과 함께 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홍살문과 하마비 범상치 않은 전각들 자전거를 타고, 연천 '임진강'변을 따라가다 보면, '숭의전'이라는 표지판이 자주 보입니다...
옛날 PD의 주저리 주저리(2024-11-01 18:06:00)
생생한 후기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10코스를 걷는날에는 지인이랑 같이 각자 차를 가지고 한대는 도착지점에 한대는 출발지점에 세워 놓고 10코스 시작점인 숭의전으로 올라 갔습니다 ㅎㅎ (대중교통 or 택시이용 하는게 너무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들더라구요 ㅠㅠ) 앞으로는 이번에 같이간 지인이랑 아마도...
세쭈(2023-09-20 08:00:00)
숭의전 주변으로 둘레길이 있고 그 중 일부 구간이 평화누리길 11코스에 포함되어 있다. 길은 잘 관리되어 있어 걷기 좋았다. 차도와 만나는 지점에 있는 '왕순례' 묘. 여기서 잠시 마을 주민과 이야기를 나눴다. 여기는 원래 산이었고, 길이 없었는데 이 길(숭의전로)를 내느라, 산을 깎다가 군인들이 발견했다고 한다...
minicapsule(2022-04-19 17:48:48)
17:32 12코스 시점(답사 종료) ◈숭의전지주차장→(0:03)→11코스시점→(0:12)→왕순례묘→(0:15)→아미교→(0:09)→당포성입구→(0:07)→UN군화장장입구→(0:20...것 같다. 평화누리길 11코스 시점 파고라(뒤로 숭의전이 보인다) 7.답사 후기 「잠시 시름덜고 다양한 볼거리를 즐기다!!」 평화누리길 10코스(고랑포길...
조인기의 산과 여행이야기(2018-03-27 15:55:36)
아픈 후기작성이 아닌, 단순히 몸풀기 몇 번으로 이틀을 홀가분하게 걸을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제가 준비운동을 하려고 했는데 꾀를 부린 게 부끄럽네요. 그래도 매일 새벽 6시에 공원에 나가 기구운동과 함께 국민체조를 하는 것은 게을리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단체사진 촬영에 알맞는 층계에서 기념사진 촬영을...
우리궁궐지킴이(2014-11-17 09:30:00)
4인은 동두천 중앙역에서 19:09 전동차를 타고 서울을 향하였다. 내가 집에 도착하니 20:50 경이었다. 평화를 생각하며 20km 이상 걸은 긴 하루였다. - 후기 - 왕순례는 왕건의 후손으로 공주에 숨어 살다가 문종 때인 1451년에 숭의전의 능참봉으로 발탁되어 초대 참봉이 되었고 그 묘가 실전되었다가 1988년에 발견...
하이맛, HEIMAT who walks over Mountains(2022-01-14 20:42:15)
태조묘(高麗太祖廟)가 건립된 것인데, 앙암사는 왕건이 궁예의 수하 장수로 있으면서 도읍지 철원과 개성을 오가는 중간에 있어 자주 들렀으며 때로는 쉬어가던...성(姓)을 감추고 숨어 살던 고려 현종의 후손인 왕우지를 찾아 왕순례(王循禮)로 개명토록 하고, 부사(副使)로 임명하여 제사를 잇게 하였고 주변에 터...
겨울섬(2019-03-02 22:35:41)
암자인 듯.. 12:34분 도로로 나오면 바로 초대 숭의전의 제사를 지내신 왕순례묘가 있다.. 12:48분 고개를 넘어 아미리를 지나 마전리로 넘어 왔는데 다리 이름...연계되면서 지어진 이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전해온다. 또한, 조선 후기 지리지에는 마전리에 있던 소금창고 때문인지 염창산(鹽倉山)으로도 기재되어...
초보산꾼의 발길 닿는 곳(2023-02-05 17:10:41)
3품)·수(守 : 종4품)·영(令 : 종5품)·감(監 : 종6품) 1명씩 두었다. 조선 후기에는 사와 수를 없애고 능참봉(종9품)을 신설했으며, 수·감·능참봉은 왕씨만...위치에 복원했다. 어수정 홍살문 숭의전 올라가는 길 왕순례 묘 - 숭의전 옆 길가에 이 묘가 있다.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건국했지만 왕씨...
노래하는 사람(2023-01-17 06:42: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