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0km
보물 제681호
바로가기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0km
국보 제282호
바로가기
영주 원리 도율종중 고택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1.5km
문화재자료 제632호
바로가기
영주상망동석불좌상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2.1km
문화재자료 제277호
바로가기
영주 내림리 모은정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2.1km
문화재자료 제565호
바로가기
칠성루및휴계재사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2.2km
시도유형문화재 제174호
바로가기
영주 이산서원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2.6km
시도기념물 제166호
바로가기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흑석사마애삼존불상'에서 2.6km
보물 제680호
바로가기
석조여래좌상 榮州 黑石寺 石造如來坐像 Treasure Cultural Heritage of South Korea Stone Seated Buddha of Heukseoksa Temple, Yeongju <흑석사 마애삼존불상> 거대한 사각형의 자연암반에 가운데 중심 불상(본존불)과 좌우에 보살상(협시보살)을 조각하여 삼존불(三尊佛)을 표현하였다. 본존불은 얼굴과 가슴...
문화유산 사진첩(2025-04-21 12:16:00)
흑석사로 Go~ Go~ 영주 흑석사 📞054-637-1900 🚩경북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고운사의 말사 흑석사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흑석사 흑석사마애삼존불상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경북 의성가볼만한곳 고운사 feat 걷기 좋은 사찰 얼마 전 부모님과 의성 나들이 길에 다녀 온 경북 의성...
아고~♥ 아빠는 고집쟁이(2024-09-21 19:45:00)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흑석사마애삼존불상은 전체적으로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다. 흑석사마애삼존불상의 소박하며 아름답고 우아한 선 표현 등...어깨가 약간 움츠려 들었고, 무릎 폭이 좁아진 점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특징이 나타난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얇은 옷은 자연스러운 주름을 형성...
잃어버린 추억 나들이(2023-11-25 02:28:35)
불상 맛집? 흑석사 전경 석조여래좌상 마애삼존불상 영주 흑석사는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특히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석조여래좌상, 마애삼존불상 등이 유명하다고 한다. 안내문에 보면 각각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었었는데 취소되었는지 번호가 지워지긴 했는데 이건 따로 알아봐야겠다. 길가에...
우리마을 문화유산답사기(2024-09-21 22:55:00)
미소는 아니었습니다. 신기하게 방향에 따라 미소가 다르게 보입니다. <서산 마애 삼존불상> ‘마애불’은 절벽이나 암벽 바위면에 새긴 불교 조각을 말하는데...불 좌측은 과거불 우측 반가사유상은 미래불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백제 후기 작품으로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이 자리에 있었다고 하니 대단하다는...
꿈닷컴(2025-03-28 12:17:00)
형태의 보살상으로, 원래는 시내의 절터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목이 굵고, 힘 있는 모습에, 표현된 선도 굵고 깊은 것이 앞서 본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에서의 느낌과 유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통일 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이 불상의 특징은 왼쪽 겨드랑이에 표현된 매듭으로, 이 매듭...
세종해피뉴스(2025-01-13 13:17:48)
영주), 흑석사(영주), 영주온천랜드, 소백산 생태탐방원" 정리 경북 영주시 '영주 순흥 벽화 고분' 대구대학교와 문화재관리국이 1985년에 발굴한 이 고분은...영주시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내성천 가까이 있어요. 원래는 불상이 가득했지만, 지금은 삼존상만 남았대요. 본존불과...
이슈잇수(2025-02-24 12:15:13)
마애삼존불길 65-13 ·전화: 041 660 2538 ·관람시간: 09:00~18:00 ·휴일: 연중 무휴 ·입장료: 무료 ·주차: 무료 용현리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 후기 마애불로 빛이 비치는 방향에 따라 불상의 미소가 오묘하게 바뀌는 빛과의 조화가 탁월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한 가지 비에 젖으면 바위가 붉은색을 띠어...
리치그린61(2025-04-09 17:55:00)
올리셨을까 생각해보니 힘 많이 드셨들듯했습니다 관리사무소 모습입니다 마애여래삼존상에 대한 해설을 원하시는 관광객께서는 정확한 유래에 대하여 문화관광...마애불은 자연 암벽에 선을 새겨 넣거나 도톰하게 솟아오르도록 다듬어 만든 불상을 말합니다 불이문 모습입니다 안으로 들어봐서 보는 불이문 모습 돌로...
Jack팟의 일상블로그(2025-04-21 07:00:00)
기와집 구조이다. 높은 석축 위에 기둥을 좌·우에 각각 3개씩 세우고 좌·우 뒤쪽으로 2개의 기둥 사이는 나무판으로 막고 나머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흑석사마애삼존불상은 자연 상태의 바위에 새긴 것으로, 중앙의 본존불과 좌우 협시보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흑석사마애삼존불상 앞에는 보물 제681호인 영주...
절(터) 찾아 떠나는 불교기행(2023-11-08 12:3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