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흑석사마애삼존불상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0km
문화재자료 제355호
바로가기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0km
국보 제282호
바로가기
영주 원리 도율종중 고택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1.5km
문화재자료 제632호
바로가기
영주상망동석불좌상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1km
문화재자료 제277호
바로가기
영주 내림리 모은정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1km
문화재자료 제565호
바로가기
칠성루및휴계재사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2km
시도유형문화재 제174호
바로가기
영주 이산서원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6km
시도기념물 제166호
바로가기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6km
보물 제680호
바로가기
지지만 정확하게 남아있는 기록은 없다. 조선 정조 23년(1799) 사찰이 폐사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광복 후 다시 지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사찰 경내 가장 뒤쪽 높은 곳에 보호각을 지어 보존하고 있는 높이 약 1.6m의 불상으로 사찰 인근에 묻혀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고...
문화유산 사진첩(2025-04-21 12:16:00)
문화유산 명칭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榮州 黑石寺 石造如來坐像) 2. 지정구분 보물 681호 3. 문화유산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산 200번지 4. 공개여부 공개 영주 흑석사 주불전인 대웅전 뒷 편언덕에 마애삼존불상의 앞에 자리잡고 있다. 흑석사에는 이외에 국보 282호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대한민국 문화유산 Database(2025-02-26 09:00:00)
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에서의 느낌과 유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통일 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이 불상의 특징은 왼쪽 겨드랑이에 표현된 매듭으로, 이...이루어져 할 곳이라 생각을 갖게한다.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인데, 임진...
세종해피뉴스(2025-01-13 13:17:48)
삼존불상의 소박하며 아름답고 우아한 선 표현 등에서 고려 초기 마애불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향토문화전자대전)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榮州黑石寺石造如來坐像. 보물.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석포리 1379]) 흑석사 부근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모셔놓은 석조...
잃어버린 추억 나들이(2023-11-25 02:28:35)
복장유물 보물 제681호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인 흑석사 마애삼존불상이 있습니다. 국보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부처의 앉아...있고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대웅전 옆에 반쯤 묻혀 있습니다. 불상과 대좌, 광배 모두 통일신라 후기의 것으로 같은 시기에 제작되었다고...
너의 이름은 비마다!!!(2024-06-15 14:57:00)
칠성과 산신 그리고 맨 뒤쪽에 독성을 모셔놓은 곳입니다. 흑석사 석조여래좌상(보물) 흑석사 마애삼존불(경상북도 문화재자료) 대웅전 바로 뒤 3단의 석축위에...전체적으로 은은한 미소가 감돌고 있으며, 신체는 안정감이 있어 보이지만 어깨가 약간 움츠려 들었고 무릎 폭이 좁아진 점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특징...
희야의 소소한 일상(2023-10-10 06:56:00)
2023. 10. 26. 보물(석조여래좌상)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마애삼존불상)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흑석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상. 보물. [개설]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체 높이 160㎝, 어깨 너비 80㎝, 무릎 너비 90㎝. 절 후면의 암석에 삼존상이 조각되어...
절(터) 찾아 떠나는 불교기행(2023-11-09 12:30:00)
고려 후기 불상에서 나타나는 평평한 가슴과 나발형 머리 갸름한 얼굴, 수직으로 내린 법의의 표현에다가 조선시대 단정한 어깨, 긴 허리, 장식용 구슬, 옷 주름...최고 장인들의 솜씨를 발휘한 최고의 걸작이다 마애삼존 불상과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보호각 높은 석축 위에 기둥을 각각 3개씩 세우고 뒤쪽과 옆면 반쪽...
White Tiger님의블로그(2024-02-19 16:27:00)
조선시대 전기 / 1458년(세조 4년), 복장유물 조선시대 전기 / 15세기 전반~중반 소유자(소유단체) 흑석사 관리자(관리단체) 흑석사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보물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5-01-05 14:26:00)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石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영주 부석사 안양루(安養樓), 보물 영주 부석사 범종각(梵鐘閣),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영주 부석사...유형문화재 제130호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三層石塔) 등이 있다 ▲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 무량수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塑造) 불상으로 목재로 뼈대...
어류산(2025-04-18 19:56:57)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