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지도 이미지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4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문화유적지정번호
보물 제681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석불(부동산)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1379
지정일자
1980-09-16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흑석사석조여래좌상은 마애삼존불상과 함께 삼면이 개방된 보호각 내에 봉안되어 있다. 석조상의 뒤로는 고려시대 작으로 보이는 마애삼존불상이 광배처럼 자리하고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639-6582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영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1-10-28
제공기관코드
5,09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영주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6424.15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다덕약수관광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다덕로 873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17.16km

바로가기

부석사관광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298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19.07km

바로가기

예천포리관광지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복골길 150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19.57km

바로가기

오전약수관광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문수로 154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2.04km

바로가기

다리안관광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소백산등산길 12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7.32km

바로가기

천동관광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다리안로 520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8.22km

바로가기

안동문화관광지

경상북도 안동시 관광단지로 346-30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9.75km

바로가기

온달관광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온달로 23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31.06km

바로가기

하회관광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33.07km

바로가기

고씨굴 관광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영월동로 111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36.35km

바로가기

석탄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천제단길 195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41.17km

바로가기

예천삼강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길 53-23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43.61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영주리치관광호텔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 328-22 영주리치관광호텔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4.6km

바로가기

제제게스트하우스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 316-15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4.7km

바로가기

영주온천관광호텔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1729 영주온천관광호텔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5.91km

바로가기

풍기관광호텔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성내리 51-15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14.07km

바로가기

춘양목 호스텔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 624-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5.42km

바로가기

펜션달안동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236-7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7.1km

바로가기

안동풍경 호스텔 n LIBRARY

경상북도 안동시 노하동 659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7.19km

바로가기

안동호스텔1호점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 666-1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7.79km

바로가기

브라운도트 풍산점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 598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8.56km

바로가기

킹덤호스텔

경상북도 안동시 광석동 108-4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8.89km

바로가기

사적공간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1419-5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9.66km

바로가기

베네치아 호스텔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1553-8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9.72km

바로가기

주변 관광 식당

까치구멍집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 513-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28.34km

바로가기

장금성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1284-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78.6km

바로가기

상하이손짜장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관설동 1675-6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3.92km

바로가기

봉선루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행구동 1537-6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4.04km

바로가기

중앙동 래래반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중앙동 120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6.6km

바로가기

아차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산동 52-16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6.82km

바로가기

산동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학성동 206-8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7.09km

바로가기

연강춘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학성동 207-18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7.11km

바로가기

타이하우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산동 209-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7.13km

바로가기

샹하이문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단계동 858-2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7.97km

바로가기

래래반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우산동 231-11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88.8km

바로가기

짬뽕대장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1626-5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에서 93.17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 영주 흑석사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흑석사 마애삼존불상

    지지만 정확하게 남아있는 기록은 없다. ​ 조선 정조 23년(1799) 사찰이 폐사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광복 후 다시 지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사찰 경내 가장 뒤쪽 높은 곳에 보호각을 지어 보존하고 있는 높이 약 1.6m의 불상으로 사찰 인근에 묻혀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놓았다고...

    문화유산 사진첩(2025-04-21 12:16: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천년고찰. 영주 박봉산 흑석사 Yeongju Bakbongsan Mt. Heukseoksa Temple.

    뒤쪽 벽면에 삼존불상을 그려 놓았다. 보궁 뒤쪽 보호각 안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인 흑석사 마애삼존불상이 자리하고 있고, 그 앞에 보물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보호각은 정면 1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로 앞면과 측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마애삼존불상이 있는 보호각 뒤쪽에 최근...

    순례기행-천년고찰•문화유적www.hotelnworld.com(2025-07-15 09:13: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10]

    국립대구박물관 시 대 고려시대 후기~조선시대 전기 / 14세기~1458년(세조 4년) 소유자(소유단체) 흑석사 관리자(관리단체) 흑석사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보물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5-07-07 20:20: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보물 681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경북 영주시)

    문화유산 명칭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榮州 黑石寺 石造如來坐像) 2. 지정구분 보물 681호 3. 문화유산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산 200번지 4. 공개여부 공개 영주 흑석사 주불전인 대웅전 뒷 편언덕에 마애삼존불상의 앞에 자리잡고 있다. 흑석사에는 이외에 국보 282호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대한민국 문화유산 Database(2025-02-26 09:00: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흑석사마애삼존불상(黑石寺磨崖三尊佛像)과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榮州黑石寺石造如來坐像)

    삼존불상의 소박하며 아름답고 우아한 선 표현 등에서 고려 초기 마애불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향토문화전자대전)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榮州黑石寺石造如來坐像. 보물.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석포리 1379]) 흑석사 부근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모셔놓은 석조...

    도귀들의 여행(2023-11-25 02:28:35)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如一同行 백 여든 한번째 : 영주

    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에서의 느낌과 유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통일 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이 불상의 특징은 왼쪽 겨드랑이에 표현된 매듭으로, 이...이루어져 할 곳이라 생각을 갖게한다.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인데, 임진...

    세종해피뉴스(2025-01-13 13:17:48)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영주/부석사, 무섬마을,흑석사

    우리가 영주 흑석사를 찾아가는 이유는 도난 사건으로 고초를 겪은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그 안에서 나온 복장 유물과 함께. ​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극락전에 모셔져 있었다. 흑석사 1980년대 후반 어느 날 도둑이 흑석사에 삼존불을 훔치러 왔다지. 도둑은 복장 유물까지 확인하고 불상을 훔쳐...

    햇살 한 움큼(2025-05-08 13:19: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흑석사 (경북 영주시)

    복장유물 보물 제681호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인 흑석사 마애삼존불상이 있습니다. 국보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부처의 앉아...있고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대웅전 옆에 반쯤 묻혀 있습니다. 불상과 대좌, 광배 모두 통일신라 후기의 것으로 같은 시기에 제작되었다고...

    너의 이름은 비마다!!!(2024-06-15 14:57: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그처서 나라가 태평하고 평안하며, 부처님의 해가 더욱 밝고 법의 수레바퀴가 굴러지기를 바라옵니다. ​ ​ ​ ■ 흑석사는 삼국시대 석조마애여래상과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보물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절로, 늦어도 통일신라 때 창건된 절이라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사되었다가 1945년 다시...

    chatelain님의 블로그(2025-07-10 19:35:00)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경북 영주 가볼만한 절] 국보와 보물 마애삼존불을 만날 수 있는 절 영주 흑석사

    칠성과 산신 그리고 맨 뒤쪽에 독성을 모셔놓은 곳입니다. 흑석사 석조여래좌상(보물) 흑석사 마애삼존불(경상북도 문화재자료) 대웅전 바로 뒤 3단의 석축위에...전체적으로 은은한 미소가 감돌고 있으며, 신체는 안정감이 있어 보이지만 어깨가 약간 움츠려 들었고 무릎 폭이 좁아진 점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특징...

    희야의 소소한 일상(2023-10-10 06:56: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