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장공 부조묘 지도 이미지

충장공 부조묘 2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충장공 부조묘
문화유적지정번호
세종시 향토문화유산 제34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 201-1
지정일자
2001-05-31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시대 충신 변응정의 행적을 기리는 정려문(변응정 사당에서 충장공 부조묘로 명칭변경)
관리기관전화번호
044-300-4515
관리기관명
세종특별자치시
데이터기준일자
2023-11-09
제공기관코드
5,690,000
제공기관명
세종특별자치시

블로그 리뷰

  • 충장공 부조묘 | 공주시 사곡면 문화재 탐방 - 마곡사, 전의이씨 삼쌍 효열 정려, 충신 정분·정지산 정려, 화암정

    조선 후기의 문화재입니다. 호계초등학교 뒷길을 따라 오르면 만날 수 있습니다. 이 정려는 충장공 정분과 그분의 아들 정지산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1746년(영조 22) 정분이 복관(復官)된 이후 1804년(순조 4)에 명정을 받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지산은 1905년에 자헌대부내부대신(資憲大夫內部大臣)으로...

    흥미진진 공주 공식블로그(2024-01-04 13:30:00)

  • 충장공 부조묘 | [스크랩] 광산김씨(光金)의 발상지(發祥地) / 평장동(平章洞)을 찾아서 ...

    조선후기에 이르러 서원과 사우의 구분이 모호해졌다는 사실과 서원보다는 사우의 경우 문중적인 성향의 인물제향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볼 수 있으며, 대원군이 섭정하면서 서원에 대한 일체의 특권을 없애고 설치를 엄금하고, 축소정비정책에 따라 더욱 심화되었다. 가례에 의하면 사우는 반드시 앞을 남쪽으로 하고 뒤...

    새만금 푸른바다(2010-10-22 21:48:47)

  • 충장공 부조묘 | 세종시 역사·문화 담긴 향토문화유산 지정- 미곡리 미륵불·보광사 칠성도 등 4건 향토문화유산 지정...

    이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보존 가치를 인정받았다. 보광사 칠성도는 조선 후기 불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과 1944년에 제작된 역사성을 간직하고 있다는...왜란 당시 나라를 지켜낸 공적으로 받은 충장(忠壯)의 시호를 넣어 ‘충장공 부조묘(忠壯公 不祧廟)’로 명칭을 변경·지정했다. 이현구 시 관광문화재과장...

    세종해피뉴스(2021-08-02 18:07:45)

  • 충장공 부조묘 | 충신 정분(鄭苯)의 족보를 둘러싸고 독상(獨相) 채제공에게 올린 상소문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으로, 영조 후반 시대와 정조 시대 강화유수·우의정·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조선 3대 재상으로 황희·류성룡·채제공을 꼽는다. 연기에 사는 정홍섬을 대신하여 이 글을 지어 주었다.) 伏以自古妄認古之聞人以爲己祖者,蓋或有之,如郭崇韜之哭子儀墓、吳寧杜氏之宗延年ㆍ當陽侯、淳安...

    알고 나서 부족함을 알았다.(2021-11-28 12:49:00)

  • 충장공 부조묘 | 세종시, 미곡리 미륵불·보광사 칠성도 등 4건 향토문화유산 지정·고시

    오고 있다는 점에서 보존 가치를 인정받았다. 보광사 칠성도 보광사 칠성도는 조선 후기 불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과 1944년 제작된 역사성을 간직하고...을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지켜낸 공적으로 받은 충장의 시호를 넣어 '충장공 부조묘'로 명칭을 변경·지정했다. 이현구 관광문화재과장은 "관내 흩어져...

    coq(2021-08-01 12:06:00)

  • 충장공 부조묘 | 내포 답사-2015 천안여고 지리교과 캠프(2)

    조선 후기 묘자리를 잡는 음택 풍수가 성행하면서 과학성을 상실하고 도참사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곳도 그런 장소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명당이란?-가야산 남연군묘 명당의 대명사로 알려진 남연군묘. 충남 예산, 서산의 경계를 이루는 가야산의 동쪽 기슭에 자리를 잡고있다. '2대천자지지(二代天子之地...

    땅과 사람들(2015-10-28 12:41:01)

  • 충장공 부조묘 | 세종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이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보존가치를 인정받았다. ​ 보광사 칠성도는 조선후기 불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과 1944년에 제작된 역사성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당시 나라를 지켜낸 공적으로 받은 충장(忠壯)의 시호를 넣어 ‘충장공 부조묘(忠壯公 不祧廟)’로 명칭을 변경·지정했다. ​ 이현구 시 관광문화재과장은...

    나눔과 공존(2021-08-02 07:24: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