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임실용암리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2길 11-32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0km
유형문화제82호
바로가기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2길 11-32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0km
유형문화제82호
바로가기
임실 진구사지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0.1km
기념물144호
바로가기
임실진구사지석등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2길 18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0.2km
보물267호
바로가기
임실 가덕리 하가구석기유적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1.7km
기념물 159호
바로가기
임실현읍총병풍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2.4km
향토문화유산유형제1호
바로가기
임실상가윷판형암각화유적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3.1km
기념물133호
바로가기
수운정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에서 3.7km
유형문화재151호
바로가기
현재의 명칭으로 고쳤다. 1920년 박봉주 주지가 중기사를 건립할 무렵 진구사지 광명등 서쪽 30m 떨어진 곳에서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과 함께 발견되어 중기사에 안치한 것이라고 한다. 중기사는 1948년 석불과 철불을 석회로 도분해 놓은 상태였기 때문에 1977년 당시 석불연화좌대만 지정된 것이다. 1998년경 도...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03-14 22:40:00)
중기사 2008년 답사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 2008년에는 현재 진구사지 전각에 봉안된 비로자나불 좌상과 함께 불단에 계셨습니다. 철조여래좌상 진구사지에서 발굴되어, 1924년 창건(중건?)된 중기사로 옮긴 불상입니다. 나발, 육계가 낮고, 엄숙한 분위기의 타원형 상호, 백호, 반개한 눈, 오뚝한 코, 도톰한 입술, 목...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1-04-29 06:56:57)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이 각각 보물,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삼층석탑 등이 남아있다. [글 출처: 문화재청] 임실 진구사지 석등 안내판 임실 진구사지 석등 任實 珍丘寺址 石燈 ▪보물 제267호 寶物 第267號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任實 珍丘寺址 石燈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2023-04-10 22:35:32)
[전주시 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임실군 신평면 소재 중기사에 있는 철조여래좌상(鐵造如來坐像)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됐다. 전라북도와 임실군(군수 심민)에 따르면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시대 창건되어 조선 전기까지 존재했던 진구사지(珍丘寺址)에서 출토된 고려 초기 철불이다고 14일 밝혔다...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2020-02-14 15:51:01)
사자에서 출토된 임실 중기사 철불로 왼손과 오른팔 일부가 사라진 모습으로 역삼각형의 얼굴에 휘어진 눈꼬리와 작은 입 등 고려 전기 불상의 특징을 보이고 있지만 전체적인 몸의 비례가 적당하여 9세기 말~10세기 전반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네요 임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과 안내문구 ~촬영 : 2021년 6월 말~
navykanggu님의블로그(2021-08-18 06:50:00)
임실군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8호로 지정됐습니다. 철조여래좌상은 오른 팔이 어깨에서부터 결실되었고 왼손도 손목 아래 부위가 결실돼 정확한 수인은 알기 없으나 이 시기 석가여래를 주로 주조했던 점을 생각하면 여래좌상으로 추정된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시대 양식을 계승한...
경주 구석구석 둘러보기(2021-04-04 00:18:00)
신라 후기의 특징이지만, 풍만한 신체에 비하여 각 부분의 세부표현이 간략화된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마애석불좌상의 친견을 이루고 대곡리의 암각화를 보려 자리를 옮긴다. [봉황정] 대곡리 암각화는 이곳 대곡리의 봉황대에 자리한 바위에 새겨져있다. [대곡리 암각화...
세종해피뉴스(2023-10-24 23:54:55)
발굴 조사를 하면서, 중기사는 진구사지 외곽으로 이전했다. 이렇게 천년 사찰 진구사는 역사의 흐름에 따라 굽이굽이 파란의 과정을 겪어왔다. 중기사 철조여래좌상(소장 : 익산박물관) 이 사찰 부지에 1992년부터 몇 차례에 걸친 문화재 발굴 조사가 있었고 1998년에 ‘진구사(珍丘寺)’가 새겨진 명문 기와가 출토...
여행천하(2023-08-18 08:30:00)
백제 후기 익산 시기의 귀중한 국보급 문화재와 유물들을 모두 고스란히 전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미륵사지만 오직 잘 보이도록 배려하고 있으면서도 박물관 고유의 아름다움을 한껏 자랑하고 있는 이곳 박물관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아주 독특하고 멋진 박물관이 바로 국립익산...
와이투케이의 일상과 일탈(2021-06-30 16:52:23)
머물며 명맥을 이어왔음. 각종 석조 문화재의 보고 〈중요 문화재〉 - 철조여래좌상 : 긴장감과 활력이 넘치던 8세기 불상이 다소 느슨해지고 탄력이 줄어드는...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상륜부가 완전하게 보존된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을 대표하는 뛰어난석탑. 불국사 석가탑 복원시 이 탑의 상륜부를...
백조의 소소한 일상(2024-06-13 21:2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