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지도 이미지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2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문화제82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2길 11-32
소재지지번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222-1
지정일자
1977-12-31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임실군수
규모
1기
조성시대
8-9세기
향토문화유적소개
1920년 박봉주 주지가 중기사를 건립할 무렵 광명등 옆에 방치되어 있던 좌대 위에 불상을 안치한 것이라고 한다. 애초에 1977년 12월 31일 당시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불상이 아니라 <임실 용암리사지 비로자나불상>을 받치고 있는 <중기사지 석불 연화좌대>이다. 불상은 1948년에 석회로 도분해 놓은 상태였다가 1998년경 도분을 벗겨내면서 연화좌대와 석불이 한 몸인 것이 밝혀져 2003년 <임실 용암리사지 비로자나불상>이라고 이름을 고쳤으며 2020년 다시 <임실 진구사지 비로자나불상>이라고 이름을 고쳤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3-640-2315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1-25
제공기관코드
4,761,000
제공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블로그 리뷰

  •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임실 진구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

    82호 #전라북도유형문화재제82호 #전북유형문화유산제82호 #전북유형문화재제82호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lt;출처: 문화재청 공공누리 제1유형 임실 진구사지 비로자나불좌상&gt; 중기사(中基寺)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 중기사를 재건할 때 발견...

    부산 아재의 역사이야기 by 적연(寂沿)(2024-07-11 18:00:00)

  •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문화재답사/임실] 임실용암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

    리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 (任實龍岩里寺地石造毘盧舍那佛像)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2호 소재지 : 전북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730-6 임실 용암리사지 석조...불상은 문양과 규모로 보아 이 지역에 위치한 보물 제267호 임실 진구사지 석등과 같이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좌대 중 하나는 아래...

    박재봉의 '발길속으로, 삶과 여행'(2012-09-27 06:00:00)

  •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석조비로자나불상#임실여행#임실유적답사#임실진구사지석등#임실용암리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은방울꽃의...

    신라 후기 전라도 지방의 석등 양식을 지니고 있다. ​ ​ 아래 위에 턱을 만든 하대하석 각면에는 안상이 하나씩 새겨졌고,그 위에 8장의 복판단엽 연꽃잎을 새긴 연화하대석에는 꽃잎 끝마다 귀꽃이 섰으며 그 위로 다시 구름문양이 새겨진 간석 괴임이 놓였다. ​ 간석 중간의 두툼하게 부플린 부분에는 다시 앙련과 복련이...

    은방울꽃의 여행이야기(2020-06-05 17:45:00)

  • 임실진구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임실군(任實郡) 연혁 - 전북 임실군

    왕건(17세) 상이암에서 기도하고 ‘환희담’을 남김 7세기 전후 진구사 건립 8~9세기 임실 진구사지석등(珍丘寺址石燈, 보물 267호) 8~9세기 임실 용암리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82호) 고려시대 (高麗時代) 983년 전라도(全羅道) 전주목(全州牧)에 임실군(任實郡)을 둠 1250년 오수의견설화 등장...

    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아파트 / 에덴부동산(2020-06-19 11:47: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