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박팽년선생유허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 326번길 28(가양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0km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호
바로가기
삼매당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73-17(가양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0.3km
대전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1호
바로가기
송자대전판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가양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0.6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1호
바로가기
남간정사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가양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0.6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4호
바로가기
송자고택
대전광역시 동구 진수2길 13(소제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1.8km
대전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39호
바로가기
보현사목조여래좌상
대전광역시 동구 신상로 77-55(비룡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1.8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53호
바로가기
문충사
대전광역시 동구 동부로 73번길 44(용운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2.7km
대전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4호
바로가기
심광사 목조석가모니불좌상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592-20(천동)
'박팽년선생유허비'에서 3.9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31호
바로가기
조선 후기인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동면의 일부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평리, 소하리, 장대리, 신촌, 묘동을 병합하여 신하리로 명명되었고, 대전군 동면에 편입되었습니다. 이후 1935년 11월 1일 대전부 신설과 함께 대덕군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대전...
대전광역시 동구(2025-03-31 09:28:00)
11) 박팽년(朴彭年), 이개(李塏), 유성원(柳誠源), 하위지(河緯地), 유응부(兪應孚)를 추가 배향하였다. 1692년(숙종 18) 조정에서 녹운서원(綠雲書院)이라 명칭...쌓아 ‘노은단(魯恩檀)’이라 하고, 매년 음력 10월 15일 제향을 올렸다. 1945년 광복이 되자 홍성고적현창회에서 삼문을 개축하고 정화하였다. 유허비는...
대한민국 축제공연행사 정보(2025-03-10 12:56:44)
마을, 대전트래블라운지, 소제동, 인쇄거리, 철도관사촌솔랑시울길, 박팽년선생유허비 등 여행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세상 모든 여행지가 여기 있다! 즐거운...사적공원' 우암사적공원은 대전 동구에 위치한 도시근린공원으로, 조선 후기 대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학문을 닦던 곳입니다. 1991년부터 1997년...
숨은 명소 여행사전(2025-03-04 11:30:00)
박팽년 선생 유허비 1. 박팽년의 업적 1.1. 집현전 학자로서의 활동 박팽년은 세종대왕의 집현전에서 활동한 주요 학자 중 한 명으로, 이 시기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큽니다. 집현전은 조선 시대 왕이 학문을 장려하고 정책을 논의하던 기관으로, 박팽년은 이곳에서 훈민정음 창제와 같은 국가적 프로젝트에 참여...
흐르는 시간(2024-09-25 23:53:39)
정순왕후가 태여난 곳임을 표기한 비석으로 1698년(숙종24) 증조부 송계성 유허비 옆에 세웠던 것을 1988년 새롭게 재정비해 세운 비석이다 비해당소상팔경...성삼문 등 19명의 글을 두루마리로 꾸민 것이다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 조선후기 박팽년 · 성삼문 · 이개 · 하위지 · 유성원 · 유응부의...
하늘 저편 노란 신발을 신고...(2025-01-31 17:48:00)
담당한 역할을 바탕으로 한 그에 대한 민간의 숭앙은 조선 후기까지도 이어졌다. 성삼문 선생 유허지(成三問 先生 遺墟址) 충남 홍성군 홍북면에 있는 조선전기...위해 서원이 건립된 곳이다. 입구 길가에 두 개의 비가 세워져 있다. 하나는 유허비로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노은서원 유허비이다. 유허 안...
인생은 "0"(2025-02-16 18:05:00)
조선후기 생육신 원호 관련 누정. 정자. 시도기념물.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에 묻히게 되자,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었던 원호(元昊...헌종 11)에 비석과 정자를 세우고 그의 호에 따라 ‘관란정’이라 하였는데, 유허비(遺墟碑)도 함께 세웠다. 유허 비각은 목조기와 맞배집으로 정자 옆에...
산야초사랑(자연이주는선물)(2025-02-14 20:01:00)
올라가다가 박팽년유허비(朴彭年遺墟碑) 아래쪽에 있다. 인근인 동구 가양동에서 태어난 그는 관직에서 물러난 후인 인조 22년(1644) 이 곳에 서당을 짓고 정원에 매화 세 그루를 심었으며, 사방에 정자를 세우고 버드나무 5그루를 심어서 오류정(五柳亭)이라 불렀다. 어느 날 송시열 (宋時烈)이 이 앞을 지나다 매화가...
대한민국 문화시설 정보(2024-09-11 18:55:32)
고변으로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유응부와 함께 참형을 당했다. 이들이 바로 죽음으로써 충절을 지킨 사육신이다. 선산읍 서쪽 단계천의 단계교 위에...우리나라 인간문화재 5호인 명창 박록주 선생이 있다. 1906년 선산읍에서 태어난 박록주 선생은 12세에 명창 박기홍(朴基洪)에게 소리를 배우기 시작해...
옛책의 香氣 [書卷氣 文字香](2025-03-23 10:12:00)
홍성 읍내의 건양각과 홍성여자고등학교 정원에 있는 것을 보면 당시 조선 후기까지 이 절이 수덕사 못지않은 대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용봉사에서 용봉산...사육신의 위패를 봉안한 노은단(魯恩壇)과 성삼문 선생 유허비 등이 있다. 성삼문 선생 유허는 외조부 박담(朴膽)의 고택이 있던 곳이며, 성삼문이 출생...
시솔길을 함께 걸어보실까요?(2024-06-13 06:14:2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