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박팽년선생유허비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326번길 28(가양동)
'송자고택'에서 1.8km
대전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8호
바로가기
박팽년선생유허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 326번길 28(가양동)
'송자고택'에서 1.8km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호
바로가기
삼매당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73-17(가양동)
'송자고택'에서 1.8km
대전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1호
바로가기
문충사
대전광역시 동구 동부로 73번길 44(용운동)
'송자고택'에서 2.2km
대전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4호
바로가기
송자대전판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가양동)
'송자고택'에서 2.2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1호
바로가기
남간정사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가양동)
'송자고택'에서 2.2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4호
바로가기
심광사 목조석가모니불좌상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592-20(천동)
'송자고택'에서 2.4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31호
바로가기
보현사목조여래좌상
대전광역시 동구 신상로 77-55(비룡동)
'송자고택'에서 3.6km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제 53호
바로가기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인 우암 송시열선생을 조선 영조임금이 '송자(宋子)'로 칭하하고, 정조 때는 '송자(宋子)'로 격상되었다고 하니... 송자(宋子)라고 존칭 받은 대학자로 공자와 맹자처럼 성 뒤에 '자'(子)자가 붙은 조선의 인물 중 송시열을 '송자(宋子)'라 칭했으니... 그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위대한 학자에게...
향기로운 나들이...(2024-03-11 19:38:03)
사대부의 고택문화, 의복과 미술 그리고 음식문화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1. 관청과 향교 (1) 관청이 들어서다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후, 전국을 8도로 나누어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조선 전기의 대전은 회덕현, 진잠현, 공주목(유성현, 덕진현)으로 분류되었고 '현'까지는 수령이 파견되었어요. 회덕현은...
나와 우리의 시간을 위하여(2025-04-04 05:59:00)
하담고택, ▣장기 척화비, ▣도덕암, 21. 고령 노강서원(高靈 老江書院)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 위치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배향한 서원…붕당정치 이해 관계 얽혀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에 위치한 노강서원(老江書院)은 동쪽의 낙동강을 기준으로 대구 달성군 논공읍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낙동강이 흐르고...
송풍수월 (松風水月)(2025-04-02 08:59:00)
조선 후기 예송논쟁으로부터 이어진 당쟁이 있었으니 사도는 소론의 세력이 후원했던 것이다. 결국은 노론의 힘에 밀려 뒤주속에서 죽게된 것이다. 임진란과...벼슬자리, 넘치는 인물, 이것이 분파의 요인이였을까?' 송시열은 죽은 뒤 '송자宋子'로 추앙을 받는다. 성인이 된 것이다. 정조 시대에는 정조의 명에 의해...
세상만사- 과객의 눈으로 감상하기(2024-08-11 11:26:49)
t.cpawas2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3412500390000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송자고택 (宋子古宅)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조선 효종 4년(1653)에 세운 집이다. 송시열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로 55세인 현종 7년(1661)까지 이 집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 통일로 가는 기록주의자! :::(2023-09-26 08:28:00)
문집인 ‘송자대전판’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습니다. 유물관에서는 우암 선생의 유물과 일생을 살펴볼 수 있으며, 서원 영역에는 인함각...다양한 꽃이 피어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입니다. 우암사적공원은 조선 후기 이 땅에 유교 사상을 꽃피운 송시열 선생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역사...
대전광역시 동구(2025-02-06 09:00:00)
동춘당 종택. 송씨3세 효자정려 구허비. 동춘당역사공원. 소대헌.호연재고택. 도로 건너편 송촌시장앞. 동춘당에서 다시 311번 버스타고 우암사적공원으로 우암사적공원 우암사적공원은 대전 동구에 위치한 도시근린공원으로 조선 후기 대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학문을 닦던 곳이다. 1991년부터 1997...
산경표를 따라서(2024-06-13 11:47:44)
이어집니다. 고택에서 머물며 얻는 깨달음은 집과 내가 함께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망가짐을 이유로 집을 오래 비우지 못하는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됩니다. 그리고, 사람을 배려한 옛 집의 위대함을 마주할 때 생의 마지막까지 머무르고 싶은 공간임을 이해하게 됩니다. 2 서원유람 書院遊覽 '예 (禮...
손해보는 듯하게 살자(2024-05-04 21:29:48)
것이라고 전해졌으나 소제동 장승을 옮기면서 제단이 사라지고 지금의 모습처럼 화단처럼 주위를 돌로 둘러놓았다.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웹진에서 인용 송자고택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조선 효종 4년(1653)에 세운 집이다. 송시열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로 55세인 현종 7년(1661...
인생의 짐은 많을수록 불편할뿐 (空手來空手去)(2023-05-21 00:24:32)
삶과 고택, 서원등을 소개 논산지역의 두 양반 가문의 집을 소개. 파평 윤씨와 광산 김씨. 파평 윤씨집안이 지은 종학당 문중 후손뿐만 아니라 외가와 처가쪽 후손까지 교육했다고. 결국 본인들 집안 사람들을 교육한 것인데, 벽에는 문중을 넘어선 지역교육기관이라고 표기. 이후의 설명들에서도 전시 기획자들의 역사...
민주주의, 보편적 복지. 산행(2024-03-02 01:32:42)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