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세모시짜기 지도 이미지

한산세모시짜기 2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한산세모시짜기
문화유적지정번호
도지정 무형문화재 제1호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소재지도로명주소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 1102-9
지정일자
1974-08-3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박미옥
향토문화유적소개
모시는 오랜 기간동안 이용되어 온 직물로서 일명 저포·저치라고 하며, 모시풀 줄기를 꺾어 그 껍질을 벗긴 것을 재료로 한다. 통일신라 경문왕(재위 861∼875) 때 중국 당나라에 보낸 기록으로 보아 외국과의 교역품으로도 이용되었다.한산세모시는 한산에서 만드는 모시로 예로부터 품질이 우수하며 섬세하고 단아하여 모시의 대명사로 불려왔다. 제작과정은 재배와 수확, 태모시만들기,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굿만들기,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모시표백의 9과정으로 나뉜다. 우선 재배를 해서 수확을 한다. 태모시는 껍질을 벗겨 인피섬유를 만드는 것인데 모시째기는 태모시를 쪼개는 과정이다. 모시삼기·모시굿만들기는 쪼개진 인피섬유를 이어 실을 만드는 과정이며, 모시날기는 실의 굵기에 의해 한 폭에 몇 올이 들어갈지 결정한다. 모시매기인 풀먹이기 과정을 거친 후 베틀을 이용해 모시를 짠다. 마지막으로 모시표백은 물에 적신 다음 햇빛에 여러 번 말려 백저포, 곧 흰모시로 만드는 과정이다.모시는 습도가 모자라면 끊어지기 쉬우므로 더위에도 통풍이 안되는 움집에서 짜야 했고 바람이 불거나 비오는 날에는 일을 할 수가 없었다. 더욱이 섬유공업의 발달과 함께 수요가 줄어들어서 이 지방의 모시짜기 기술도 점차 쇠퇴하고 있다.한산세모시는 우리나라의 미를 상징하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여름 전통 옷감으로, 제작기술을 보호하고 전승하고자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충청남도 서천군에 살고있는 기능보유자 나상덕씨가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41-950-4764
관리기관명
충청남도 서천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4-17
제공기관코드
4,58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서천군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