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환가옥 지도 이미지

노동환가옥 5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노동환가옥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11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후천1길 19-20
소재지지번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후천리 465
지정일자
1986-09-08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노동환
규모
목조
조성시대
조선중기
향토문화유적소개
노동환의 8대조 노엽(盧燁) 즉 오류처사(五柳處士) 공이 이 건물을 구입하여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그 때가 1650년(효종 1)이라고 한다. 현재 안채 사랑채 사당 장독대 만이 남아있는데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서쪽으로부터 앞쪽에 부엌이 있고 뒤쪽으로 방이 두 개 있다. 안방 대청마루 건넌방 등이 이어여 있고 뒤쪽으로 도장이 있다. 또 안방에서 부엌쪽으로 다락 하나가 있다. 안채 대들보에는 ‘숭정기원후 경인 3월 초6일 인시(寅時) 수주(竪柱) 경인 3월 16일 유시(酉時) 상량(上樑)’이라 하여 조선 효종 1년(1650 경인) 3월 초6일 인시에 기둥을 세우고 같은 해 3월 16일 유시쯤에 상량을 올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3-640-2315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1-25
제공기관코드
4,761,000
제공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주변 관광지 숙소

코리아에프앤씨 호스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신정동 919

'노동환가옥'에서 12.08km

바로가기

지리산하이츠콘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곡동 15-2 중앙하이츠콘도

'노동환가옥'에서 12.09km

바로가기

이랜드파크 켄싱턴리조트 지리산남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어현동 37-122

'노동환가옥'에서 14.11km

바로가기

산리지호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신촌동 437

'노동환가옥'에서 14.18km

바로가기

(주)교원프라퍼티 스위트호텔남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386-2

'노동환가옥'에서 15.97km

바로가기

더케이호텔앤리조트(주) 지리산가족호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대평리 729 지리산가족호텔

'노동환가옥'에서 25.37km

바로가기

담양리조트가족호텔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원율리 399번지

'노동환가옥'에서 25.48km

바로가기

글리제977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월계리 149-25 호스텔

'노동환가옥'에서 25.8km

바로가기

주식회사오헤브데이호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268-14

'노동환가옥'에서 26.09km

바로가기

구례 지리산 리조트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수월리 58-2

'노동환가옥'에서 32.41km

바로가기

지리산 토비스 콘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장항리 221 지리산토비스콘도미니엄

'노동환가옥'에서 32.78km

바로가기

일성지리산콘도미니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805-1 일성지리산콘도미니엄

'노동환가옥'에서 32.86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노동환가옥 | 대만 여행(1)

    찾아보다가 후기 좋길래 요기로 픽! ​ 근데 갑자기 여행 전날에 제대로 된 곳 맞겠지? 걱정되는겅미???.. 먹튀하면 어쩌지-.- 에잇몰라 이ㅁㅣ 여기로 예약해놨는데 어쩌겠서~ 하고 고고링 했는데 제대로 된 곳 맞았다 헤헤 ​ 공항에서 대니택시기사님 만났다! 드디어 대만공기 마시는구나~ 오른쪽 앉으신 분이 대니택시...

    은집이공개일기(2023-12-12 12:59:00)

  • 노동환가옥 | 임실 오류재(五柳齋)

    조선 후기 문신 겸 학자. 검상 · 대사헌 등을 거쳐 개성부유수가 되고 부제학에 이어 참판에 이르렀던 나주출신 창계(滄溪) 임영(林泳1649 ~ 1696)도 1688년(숙종14) 2월에 진안(鎭安)에서 고향 회진(會津)으로 이주하는데, 전라도 임실현(任實縣)에 있는 고개 덕치를 지나며 말 위에서 입으로 읊조리는 시로 또다른...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30 14:27:00)

  • 노동환가옥 | 전북문화살롱 통권34호(2021년 10월)-「1872년 임실현지도」를 통해 본 역사 읽기(김승대 문화재청 백제...

    조선후기 읍 지인 ‘운수지’도 여기에서 비롯한다. 지금의 임실군은 조 선시대 임실현과 남원부 북부 일부지역이 합쳐 이루어진 곳이다. 당시 임실현은 현재 임실, 성수, 관촌, 신덕, 신 평, 운암, 강진, 덕치, 청웅, 오수면에 걸쳐 있었다. 「1872 년 임실현지도」에 보면 임실현 읍치 부분은 현 임실읍 성 가리 일원...

    전북문화살롱(2021-10-28 10:53: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