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침천정(枕泉亭)
'요산정(樂山亭)'에서 0.9km
53
바로가기
도계정사(兜溪精舍)
'요산정(樂山亭)'에서 1.1km
51
바로가기
야당정(野塘亭)
'요산정(樂山亭)'에서 2.6km
97
바로가기
하계정(霞溪亭)
'요산정(樂山亭)'에서 3.3km
54
바로가기
목재고택(穆齋古宅)
'요산정(樂山亭)'에서 3.4km
48
바로가기
사은구장(仕隱舊庄)
'요산정(樂山亭)'에서 3.4km
49
바로가기
원대고택(遠臺古宅)
'요산정(樂山亭)'에서 3.4km
50
바로가기
선성김씨 전의비(宣城金氏 傳疑碑)
'요산정(樂山亭)'에서 3.7km
65
바로가기
九美亭, 1992) * 노수현, 望금강산 (1940, 이건희 컬렉션) * 후페이헝, 깊은 산 좁은 길 (1926) 작품 전시는 입구에서 오른쪽은 한국 작가, 왼쪽은 중국 작가로 나누어 2층에서는 근대, 3층에서는 현대로 구분해 놓았다. 그러고 보니 아래층에서는 서양 미술의 영향을 받으면서 두 나라의 화가들이 전통적인 수묵화를...
Law in Show & Movie(2025-01-17 11:35:30)
정(樂山亭)-천마산(새벌정)-길마재-중구봉-헬기장-경인교대 후문 -산행시간: 출발 12:45, 도착 15:37 (2시간 51분) *아직 가보지 않은 산인 승학산, 높이 낮고 거리가 짧아서 근처의 천마산과 연계해서 진행. *천마산 정상 찍고 중구봉 거쳐서 경인교대 후문 쪽으로 하산. 일터 근무 마치고 아침에 퇴근. 주말에 하려고...
보하천사:: 캠핑과 산행... 내 멋대로 즐기는 일상(2024-12-19 18:42:00)
조선 후기에 세자시강원사서, 정언, 병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위부(偉夫), 호는 서담(西潭). 군위출생. 공조참의 홍의동(洪義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봉 홍우식(洪禹軾)이고, 아버지는 증한성부우윤 홍흔(洪訢)이며, 어머니는 홍혼(洪渾)의 딸이다.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이다. 1588년...
세세, 세월따라 세상따라(2024-10-26 09:33:00)
寒松亭에서는 차샘茶泉‧돌아궁이石竈‧돌절구石臼가 정자 곁에 있다. 고 기록하였다. 이렇듯 술과 차 그릇은 문인들의 풍류 공간에서 빠질 수 없는 벗이었다. 덤벙 무늬 완 #粉靑沙器碗 Buncheong bowl, 조선 15~16세기 이 덤벙 무늬 완은 따뜻한 분위기의 백토를 발랐는데 고흥 운대리 가마 등 전남지역에서 주로 생산...
바람꽃과 솔나리(2024-09-01 11:37:00)
조선 후기 은둔군자(隱遁君子)인 장암(章巖) 남주일(南周一, 1804~1882) 선생이 건립한 '장암정(章巖亭)'이 있다. 장암 선생은 영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영양 남씨(英陽 南氏)로 영의공(英毅公) 남민(南敏, 생몰미상) 선생을 시조(始祖)로 한다. 영의공의 본명은 김충(金忠, 생몰 미상)으로 중국 봉양부(鳳陽府)의 여남...
英山의 窓(2024-05-06 11:09:00)
는 요산(樂山)하고 지자(智者)는 요수(樂水)라 함은 성인의 가르침인데, 나는 본래 산수를 좋아하는 버릇이 있어 가까운 명승지는 거의 다녀보았지만 선현(先賢)의 고택과 유적은 한번도 가보지 못하였다. 이는 비단 기회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나의 재주가 본래 노둔(魯鈍)하여 6세에 한문을 배우기 시작했으나 겨우...
실과바늘(2024-03-28 14:18:28)
백과) 요산의 하루 芙蓉亭(보물 제1763호) 창덕궁 후원에 조성된 인공 연못과 열 십(十)자 모양의 정자. 조선시대 왕이 과거에 급제한 이들에게 주연을 베풀어...宙閤樓 창덕궁 후원의 왕실도서를 보관하는 규장각 2층 열람실 건물로 조선후기 왕과 신하들이 학문과 정사를 논하던 곳이다. 漁水門 정조 즉위년(1776)에...
요산의 하루(2012-11-29 17:38:49)
반산정, 환주동, 천불암 등 볼거리가 많다. 복파장군의 기마상이 우뚝 선 동상앞에서 단체사진을 찰영하고 10여분 걸어서 올라가니 계림시내와 이강이 그림같이 내려다보이는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 금용원반점에서 중식 후 온천지역인 용승으로 내려가는 중 다락논으로 이름난 용생현 사수향 세문홍요쇄 즉 요족마을에...
김상남 교수의 블로그(2016-04-30 21:57:45)
벗고 요산정(樂山亭)에 오르거나 氣체험장을 걷고, 성기동(聖基洞) 국민관광지에서 왕인학당(王仁學堂) 옆 돌탑사이 천자문계단을 따라 망월정(望月亭) 전망대로 오르면 왕인박사 유적지 주변이 한눈에 보입니다. 수신정(修身亭)을 지나 성기동으로 흐르는 성천(聖泉)은 성인의 터 자리로 알려졌는데요. 물을 마시며...
박준규의 차없이 떠나는 여행이야기(2021-10-30 22:10:00)
조선 후기 간악한 관리들은 과세를 하여 민초들의 허리를 꺾었다. 이전 관리들과 달리, 1866년께 호위영대장을 지낸 정원용(鄭元容)과 경상도 관찰사 서헌순(徐憲淳), 양산군수 심락정(沈樂正)은 민초들의 고통을 헤아려 메기들에 대해 면세조치를 해 주었다. 청룡등 5부 능선 자락에 세워진 3기의 공덕비는 이러한 사정...
방초동산(로뎀정)(2012-08-29 09:23:38)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