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원재(追遠齋) 지도 이미지

추원재(追遠齋) 3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추원재(追遠齋)
문화유적지정번호
60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서삼리 106
지정일자
2010-03-12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추원재(追遠齋)는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서삼리 106에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840-5227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8-12
제공기관코드
5,07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

블로그 리뷰

  • 추원재(追遠齋) | 동양에서 스승을 섬기게 된 계기의 책 대학 학기 한글역주 도올김용옥 독서후기 필사내용

    없다. 그리고 벗과 학문적으로 사귀는 것을 즐기며, 삶 속에서 道를 항상 신험한다. -242- 지금도 밀양에 가면 제대리에 점필재가 태어나고 죽은곳인 추원재(追遠齋)가 잘 보존되어 있다. (점필재가 죽은해에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 꼭 한번 가볼 만한 곳이다. 사람은 아는 것만큼 본다. 문화재를, 고전을 이해하고...

    90년 노하우 개인 건강 컨설트(2025-01-24 12:50:00)

  • 추원재(追遠齋) | (밀양)금석문을 찾아 떠나는 남도여행Ⅵ-밀양 김종직(金宗直) 재실 추원재(追遠齋)-

    南溟) 조식(曺植) 선생이 거처하던 김해 ‘山海亭’ 기(記)를 찬하고, 조선 후기의 문장가 반계(磻溪) 이양오(李養吾)의 ‘반계집 서문’을 지었다. 이런 연유로...옷을 벗고, 우물가 옆으로 향나무 한그루가 푸르름을 자랑한다. 추원재 처마에는 ‘追遠齋’ 현판이, 우물마루 위 천정에는 ‘傳心堂’ 현판이 붙어 있다...

    개미실사랑방(2021-04-09 00:10:00)

  • 추원재(追遠齋) | 예천여행 금당실마을 상세정보

    추원재(追遠齋) 금당실 마을의 오미봉 기슭에 남향으로 자리잡은 건물로 제사 및 강학을 위한 곳이다.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이자 함양 박씨 입향조 박종린(1496∼1553)을 기리고 제사하기 위하여 효종 7년(1656)에 지었다. 흙담 안에 사당과 내삼문·강당·대문간 등이 튼 ㅁ자로 배치되어 있다. 강당은 앞면 4칸·옆면...

    여행천하(2024-08-03 04:10:00)

  • 추원재(追遠齋) | 봉화추원재 (奉化追遠齋)

    상실은 추원재라는 현판이 걸려있으며, 마당보다는 매우 높게 2단으로 기단을 축조한 후 건물을 앉혔다. 정면 7칸, 측면 1칸 규모로 재실건물로서는 상당한 규모를 지니고 있으며 일종의 중당협실형 평면형을 지니고 있다. 좌측 2칸은 2자 정도 폭의 퇴칸을 두고 온돌방을 들였으며 가운데 4칸에 걸쳐 넓은 대청을...

    (2016-06-24 18:18:00)

  • 추원재(追遠齋) | 봉화 追遠齋(추원재)

    글씨] [追遠齋(추원재)] 충재종택 우측편 계곡 내에 자리하고 있는 추원재는 종택과도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沖齋(충재) 權벌(권벌) 선생은 외조부인 주부공 내외분과 선생의 부모 묘소를 관리하기 위해 자그마한 재실을 두었으나, 선생이 을사사화로 배소인 朔州(삭주)에서 돌아가시자 이곳에 유해를...

    草阿(초아)의 삶과 문화산책(2016-01-09 08:14:10)

  • 추원재(追遠齋) | 밀양 아리랑 여행 - 제4일차1

    고향이다. 추원재(追遠齋)는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학자인 김숙자(1389∼1456) 선생이 터를 잡고 그의 아들인 김종직(1431∼1492) 선생이 평생을 보낸 집터이다. 김숙자 선생은 12세 때부터 길재에게 글을 배우고 세종 1년(1419) 문과에 급제한 뒤 현감 등의 벼슬을 지냈다. 16세기...

    한달 여행하기? 일주일 여행하기!(2024-06-01 23:54:00)

  • 추원재(追遠齋) | 四字成語 총정리 782 (군용점고사~군위신강)

    씨는 당나라 때 한림학사를 지낸 방지方智가 신라에 문화 사절단으로 온 뒤 귀화하여 상주에 정착하면서 시작된다. 용암면 사곡리 - 군위방씨, 방계관의 추원재(追遠齋) 블로그 軍威 法住寺掛佛圖 (군사 군, 위엄 위, 법 법, 살 주, 절 사, 걸 괘, 부처 불, 그림 도) 군위군 소보면 법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6-07 16:19:00)

  • 추원재(追遠齋) | 월송정, 황씨시조제단과 평해 북천교비 – 경상북도 울진군

    세워 추모하고 있는데 황장군단비(黃將軍壇碑)와 추원재(追遠齋)이다. 황락의 후손으로는 갑고(甲古)·을고(乙古)·병고(丙古) 삼형제가 있으며, 갑고는 기성군...비석에 적힌 글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앞쪽에는 북천교를 세우게 된 경위와 연대가 적혀 있다. 조선 후기 당시 사천은 바닷물과 맞닿아...

    자연이 주는 감동 Beautiful Korea 구석구석 이곳에(2024-02-17 05:00:00)

  • 추원재(追遠齋) | 장성 추원재(追遠齋)

    으로도 불리며, 여러 전설들이 생겨났으며 유식자들은 시를 남겼다. 조선 후기의 문신 삼주(三洲) 이정보(李鼎輔 1693∼1766)는 무엇 때문에 갈재를 넘었을까...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의 유학자 이증(李增)의 재실(齋室) 추원재(追遠齋)를 찾는다. = 검정마을은 양성이씨가 모여 사는 집성촌인데 이증은 이 마을...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14 10:44:00)

  • 추원재(追遠齋) | 옛길-통영 중로(10) 경남 창원시(2)-마산합포구

    시대 후기에는 9대로가 10대로로 변하면서 대로에서 빠진 통영중로를 복원하기에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위 지도에서 보다시피 영산~칠원~창원~진해~고성 구간을 복구하기가 제일 힘들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지방에서 옛길을 복원하는 데 난관에 부딪힐 때마다 은인들을 만나 거의 정확한 경로를...

    JR이 본 세계(2023-10-15 08:22: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