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지도 이미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53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문화유적지정번호
보물 420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품
소재지지번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5-4
지정일자
1965-07-1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백장암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세미정교(細微精巧)한 은사상감(銀絲象嵌) 수법과 명문(銘文)이 특징인 조선의 청동 향로. 보물 제420호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3-548-4441
관리기관명
금산사 성보박물관
데이터기준일자
2021-09-13
제공기관코드
4,700,000
제공기관명
전라북도 남원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12.01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모악산도립공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모악산길 9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5.05km

바로가기

대한민국술테마박물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덕천전원길 232-58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37km

바로가기

상관 공기마을 편백숲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편백길 191-24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44km

바로가기

비비정예술열차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비비정길 73-2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9.64km

바로가기

비비정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비비정길 96-9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9.97km

바로가기

삼례문화예술촌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81-13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0.45km

바로가기

삼례책마을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68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0.59km

바로가기

사선대관광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사선2길 68-7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0.63km

바로가기

그림책미술관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48-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0.7km

바로가기

송광사&벚꽃길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255-16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4.79km

바로가기

송광사&벚꽃길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255-16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4.79km

바로가기

오성한옥마을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오도길 73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6.27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콩쥐팥쥐 관광 한옥리조트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은교리 165-4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9.15km

바로가기

엔브릿지호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66 외 1필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13km

바로가기

객리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다가동3가 15-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13km

바로가기

풍남관광호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다가동3가 43-2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17km

바로가기

다다 호스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다가동3가 6-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17km

바로가기

전주영화호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462-4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23km

바로가기

전주한옥마을소리울 호스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동 52-2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35km

바로가기

다온호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6-1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38km

바로가기

전주아침스테이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동 22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39km

바로가기

나비잠 한옥호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동 17-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43km

바로가기

스테이 선선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동 13-3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45km

바로가기

전주관광호텔 꽃심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경원동1가 102 전주호텔 꽃심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47km

바로가기

주변 관광 식당

전주샹그릴라컨트리클럽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덕면 지장리 산 7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13.43km

바로가기

옛날짜장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두곡리 26-6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23.43km

바로가기

녹원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299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39.53km

바로가기

농업회사법인이상촌(주)순창지점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545-1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40.2km

바로가기

(주)푸드베네치아하남점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1574-8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6.23km

바로가기

캐슬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 567-2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69.92km

바로가기

폴라리스

대전광역시 서구 정림동 8-42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0.71km

바로가기

영일만회천국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 1498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4.88km

바로가기

르씨엘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 1129-2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5.05km

바로가기

청해루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 343-42번지 1층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5.13km

바로가기

오케이테마타운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143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5.22km

바로가기

그랑삐아또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684번지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에서 75.23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남원 소재 국가지정 보물 제420호- 백장암 청동 은입사 향로(17)

    백장암 청동 은입사 향로. < 백장암 청동 은입사 향로 >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Baekjangam Hermitage, 百丈庵 靑銅 銀入絲 香爐, 높이 30cm. 윗지름 30cm, 1965년 7월 16일 보물로 지정) 세미정교(細微精巧)한 은사상감(銀絲象嵌) 수법과 명문(銘文)이 특징인 조선시대 청동 향로입니다...

    바른생활 True Life(2024-07-01 08:24:00)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남원 - 실상사 (백장암)

    39호), 백장암석등(40호, 9세기 중엽), 철제여래좌상(41호, 개산당시), 청동은입사향로(420호, 1584년), 약수암목조탱화(421호, 1782년)등 11점이 보존되어 있다...166호,고려), 백장암범종(211호, 1743년)등 5점이다. 실상사 백장암 국보 통일신라 후기로 들어서면서 석탑에 부조와 같은 다양한 조각을 새겼는데, 남원...

    GOLD. k(2025-05-30 19:25:46)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산행기 - 남원 서룡산 (2025.6.7)

    불탄 흔적이 남은 소나무 숲을 지나면.. 안부 사거리가 나온다. 산내면에서 백장암으로 향하는 백장사 옛길을 만난 것이다. 이후 숲길은 완만하고 고즈넉한...국보 제10호 백장암 삼층석탑, 보물 제40호 석등, 보물 제420호 청동은입사향로 등을 보유하고 있는 유서 깊은 암자다. 백장암 삼층석탑은 각 몸돌 및 지붕돌에...

    청려장 짚고 떠나는 길..(2025-06-08 23:48:44)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보물 42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청동 은입사 향로 (전북 남원시)

    문화유산 명칭 남원 실상사 백장암 청동 은입사 향로 (南原 實相寺 百丈庵 靑銅 銀入絲 香爐) 2. 지정구분 보물 420호 3. 문화유산 소재지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번지 4. 공개여부 비공개 5. 관람한 특별전 도솔천에서 빛을 밝히다 모악산 금산사 展 (2019. 9. 4 ~ 2019. 11. 30 / 불교중앙박물관) 실상사...

    대한민국 문화유산 Database(2023-10-05 16:37:00)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남원 실상사

    석탑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천인상, 십이지신상 등 여러 상을 조각해 화려하게 장식한 석탑이다. 보물 제40호인 '백장암 석등'은 섬세한 연꽃무늬 조각이 돋보이는 문화재다. 삼층석탑과 나란히 있으며 동일한 시기에 세워졌다. 참고로, 보물 제140호인 '백장암 청동 은입사 향로'는 현재 금산사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

    궁금하면 가보자(2025-05-25 09:35:06)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지리산7암자 돌기

    조선후기추정/아래),석조산신상,산신도,삼층석탑이 있다. 앞엔 남원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오는곳에 배치되어 조망도 좋고 비구니들의 참선도량인듯하다. #8...산같이 다니는 산꾼도 만난다. 세상 참 좁다.ㅎㅎ "실상사"는 실상사와 백장암 약수암을 포함한 일대로서 지리산 북쪽 기슭에 있으며, 신라 흥덕왕 3년(828)에...

    산따라 길따라(2025-05-06 09:23:31)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국가유산방문_41] 부처님 오신날 남원 백장암 삼층석탑&석등_250505

    만력12년명 은입사향로가 있다. 백장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백장길 66 백장암 가람, 출처 : 실상사 지리산 실상사 방문 후 찾은 백장암 이곳까지 올라오는데...가능해서 다행이다. 백장암 대웅전 앞에 있는 국보인 백장암 삼층석탑과 보물로 지정된 백장암 석등 ​ 국보로 지정된 백장암 삼층석탑 낮은 기단(基壇) 위...

    소풍인생(2025-05-10 08:56:00)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한국의 사라진 대사찰 (11)- 베일에 가린 대목탑, 신라 실상사 實相寺

    응료탑(38호, 861년 이후), 증각대사응료탑비(39호), 백장암석등(40호, 9세기 중엽), 철제여래좌상(41호, 개산당시), 청동은입사향로(420호, 1584년), 약수암목조탱화(421호, 1782년)등 11점이 보존되어 있고. 지방유형문화재로는 극락전(45호,1684년), 위토개량성책(88호, 토지대장), 보광전범종(138호, 1694...

    까마구둥지(2025-02-02 02:55:00)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 국보 10호 & 보물 40호 석등

    시대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이 탑은 갖가지 모습들의 조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등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구조가 돋보이고 있어, 당시를...석탑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글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백장암 삼층석탑 1층 각 면에는 보살상(菩薩像)과 신장상(神將像)*이 있다. ▪석탑 1층...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2024-02-11 18:03:52)

  • 백장암 청동 은입사향로 | 서울 종로 가볼만한곳 서울공예박물관 무료 실내 볼거리 전시 예약 주차

    조선 후기에 옷이나 이불을 보관한 삼층장. 장은 제작 비용이 많이 들어 신분이 높고 경제력이 있는 집안에서 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 ​ 유교사회의 각종 제약 아래 외부 활동이 자유롭지 못했던 조선시대 여성들은 자신들의 염원을 담은 각종 생활용 자수 작품을 직접 만들어 자신은 물론 온 가족이 사용하도록...

    미도리(2025-07-02 20:49: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