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읍리 미륵불상 지도 이미지

구읍리 미륵불상 6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구읍리 미륵불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6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불상
소재지도로명주소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포천로 1444
지정일자
1986-04-0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정춘희
조성시대
고려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고려시대 제작된 거대한 일체형 불상
관리기관전화번호
031-538-2106
관리기관명
용화사
데이터기준일자
2022-10-31
제공기관코드
5,60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포천시

블로그 리뷰

  • 구읍리 미륵불상 | 초보산꾼 답사기(경흥길) : ​ 구읍리舊邑里(포천) - 포천향교와 관아터가 있어 형성된 구읍리 답사..

    때 고려시대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포천 구읍리 미륵불상 [抱川 舊邑里 彌勒佛像]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 시간도 시간...청성산(靑城山) 기슭의 청성문화체육공원으로 이전했다. 조선시대 후기인 19세기 초엽부터 19세기 말엽까지 포천의 현감과 군수를 지내며 선정을 베풀었던...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4-09-08 13:36:00)

  • 구읍리 미륵불상 | 미륵박물관/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민중을 규합했던 태봉의 궁예(弓裔)를 통해서였던 것 같다. 구읍리 석불입상과 미륵불상은 고려 양식을 띠지만 미륵불을 자처하며 불력을 빌어 권위를 유지...유교문화가 강하게 뿌리를 내린 점과 풍수와 결부된 불교문화가 조선 후기에 쇠퇴하여 민간 신앙화했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생 사찰 및 사설 암자...

    목야뜨락(2021-07-01 07:20:00)

  • 구읍리 미륵불상 | 경기도 포천에 남은 궁예의 흔적

    조선 후기, 숙종 임금이 다스린 지 14년째 되는 해다. 뜨거운 태양의 열기가 전국을 사정없이 내리쬐던 8월 포천, 양주 일대에서 자신을 미륵 삼존이라 칭하고 열심히 사상을 전파하던 땡중이 있었다. 본래 강원도 통천의 야심만만한 승려였던 여환은 신분 차별이 없고,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 가기 위해 열심히 미륵을...

    강병석(2023-04-05 15:18:00)

  • 구읍리 미륵불상 | 논산 - 관촉사

    없고 미륵불상과 같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 ​ 오층석탑도 높이 4.5m로 상당히 큰 편인데 미륵불의 압도적인 크기에 작게 보인다. 기단에 비해 탑신은 왜소한 느낌으로 전체적인 모습은 단순한 조형이다. ​ 논산 관촉사 석등 (論山 灌燭寺 石燈) 보물 제232호 1963. 01. 21 지정 관촉사 앞뜰의 큰 석불 앞에 놓여있는 4각...

    바람 속 갈팡질팡(2019-01-07 22:0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