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종보감 지도 이미지

연종보감 2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연종보감
문화유적지정번호
7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서적
소재지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94길 127
소재지지번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산101-28
지정일자
2022-01-0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정암사
향토문화유적소개
1853년 삼각산 내원암에서 개간된 것으로 향토문화재로서 가치가 있음
관리기관전화번호
02-2116-7152
관리기관명
서울특별시 노원구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7-22
제공기관코드
3,100,000
제공기관명
서울특별시 노원구

블로그 리뷰

  • 연종보감 | 남양주 수락산 흥국사 답사

    1부, 연종보감판(蓮宗寶鑑板) 1부, 미타경판(彌陀經板) 1부, 십육관경판(十六觀經板) 1부 등이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남호대사(南湖大師)가 직접 써서 판각한 것이다. 또한 시왕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 삼존상과 시왕, 그 권속 등 21구가 일괄로 2011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밖에 어필병풍(御筆...

    touryun1945님의블로그(2024-07-09 17:36:00)

  • 연종보감 | ■전통사찰35-남양주 흥국사

    조선 후기 뛰어난 금어(金魚)를 배출하여 화사 양성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흥국사에서 화사로서 수행을 쌓은 많은 승려들은 전국 각지에서 자신들의 기량을 발휘하며 불화 제작에 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국사는 조선 불화의 명맥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였다. ●흥국사는 높은 축대 위에 당당히 서 있는...

    LIVING PLUS---생활의 기록(2024-07-06 16:11:00)

  • 연종보감 | [경기][남양주][별내]흥국사(남양주 흥국사)

    1부, 연종보감판(蓮宗寶鑑板) 1부, 미타경판(彌陀經板) 1부, 십육관경판(十六觀經板) 1부 등이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남호대사(南湖大師)가 직접 써서 판각한 것이다. 또한 시왕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 삼존상과 시왕, 그 권속 등 21구가 일괄로 2011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밖에 어필병풍(御筆...

    라비다의 3% 부족한 여행기(2024-03-21 07:41:00)

  • 연종보감 | 한국불교전서-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조선9

    거사 宋相無盡居士 호제동자다라니경護諸童子陀羅尼經 ​ 출판사 책소개 조선 후기 염불신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담고 있는 한글 염불서 ​ 조선 후기는...이 시기 정토신앙의 기본 지침이 된 책으로는 중국에서 건너온 『연종보감蓮宗寶鑑』 등이 있었지만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정토신앙을 전파하는 데는 한계...

    몽지선(禪)공부모임10년결사(2024-08-21 19:38:00)

  • 연종보감 | 보물 제1798호 소조 석가여래 삼존상으로 유명한 수락산 흥국사

    조선 후기 승려의 기강을 북돋고 승풍(僧風)을 올바로 세우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기구를 말한다. 전국적으로 다섯 군데의 규정소를 두었는데, 광주의 봉은사(奉恩寺), 양주 봉선사(奉先寺), 남한산성 안의 개운사(開運寺), 북한산성 안의 중흥사(重興寺)와 수원의 용주사(龍珠寺)다. 이들 5개 규정소는 전국의 승풍을...

    현림의 소리(2018-11-10 23:08:44)

  • 연종보감 | 경기도 남양주시, 수락산 흥국사(水落山 興國寺)

    조선 후기의 건물로 궁궐 건물이 아니면 엄두를 못 낼 고급스러운 장식으로 꾸며졌다. 만월보전 현판 역시 흥선대원군이 쓴 글씨이며 내부에는 석조 약사여래불이 봉안한 약사전(藥師殿)이다. ​ 만월보전 지붕에도 대웅보전과 같이 잡상으로 치장되어 있다, 긴 역사와 숱한 일화를 간직한 흥국사는 약사기도처(藥師祈禱處...

    지마와 신휴의 낚시 이야기(同行)(2015-03-10 05:05:00)

  • 연종보감 | 2012_07 경기 남양주 흥국사

    조선 후기 왕가(王家)에서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였던 사찰임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ramsid2: 마침 해체 복원중이 대웅보전이라 제대로 보지 못하였네요.  일주문 흥국사. 흥국사 연혁   대웅보전   지붕을 걷어내고 서까래와 부연을 통해 하늘이 보입니다.  남양주 흥국사 대방 등록 경기 남양주시 별내면...

    과거로 떠나는 이야기(2012-07-15 10:29:00)

  • 연종보감 | 남양주 흥국사 1

    1부, 연종보감판(蓮宗寶鑑板) 1부, 미타경판(彌陀經板) 1부, 십육관경판(十六觀經板) 1부 등이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남호대사(南湖大師)가 직접 써서 판각한 것이다. 또한 시왕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 삼존상과 시왕, 그 권속 등 21구가 일괄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밖에 어필병풍...

    한글팔만대장경(2022-06-04 05:36:00)

  • 연종보감 | 별내의 둘레길 코스 안내(5) 종교시설

    다포집으로 공포의 각 면에는 연화무늬와 봉황 등이 새겨져 있어 조선 후기의 장식적인 조각 기법을 잘 나타내고 있다. ​ 이 절은 덕흥대원군의 묘소를 모신 이래...전(安海藏殿)에 보관되어 오던 것으로, 미타경족자판(彌陀經簇子板) 1부, 연종보감판(蓮宗寶鑑板) 1부, 미타경판(彌陀經板) 1부, 십육관경판(十六觀經板...

    [마을인문학] 별이 내리는 마을의 문화 이야기(2020-02-06 07:15:00)

  • 연종보감 | 흥국사

    조선 후기 왕가에서 특별한 관심을 가졌던 절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출처] [전통건축답사] 남양주 수락산 흥국사 아래에서 참조하실 사진은 제가 생태를 주목적으로 답사했던 터라 사찰사진은 조악합니다.-.-” ⇑ 만월보전 ⇑ 만월보전 측면 ⇑만월보전내 약사여래불 '남양주 흥국사 대방' 근대 건축물 문화재...

    이민희의 자연 사랑(2012-09-07 08:5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